원문정보
The association between the type of menstrual sanitary products used and menstrual discomfort : A PSM analysis
초록
영어
This is a descriptive study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types of menstrual sanitary products used and menstrual discomfort. The participants included 1,484 women who used either disposable sanitary pads or tampons, out of a total of 1,571 women aged 19-40 years and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2020 to August 2021. Th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an online and mobile survey platform, with participants proceeding to take part after clicking the ‘agree’ button. Data analysis involved 1:4 propensity score matching,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s, t-test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among the participants, 94.1% used disposable sanitary pads, while 5.9% used tampons. In the final model,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identified were age 30 or older (ß=-.157, p=.043), standing for 1-4 hours at work (ß=-.131, p=.040), experiencing sleep disorders (ß=.337, p<.001), and tampon use (ß=.130, p=.005). Therefore, it is essential for nurses to incorporate information about various menstrual sanitary products' characteristics into their menstrual education for women of reproductive age.
한국어
본 연구는 가임기 여성의 사용 생리대 유형과 월경불편감의 관련성을 규명하기 위해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 이다. 연구 대상자는 만 19-40세의 가임기 여성 1,571명 중 일반 패드형 생리대 사용자와 탐폰 사용자 1.484명이며, 자료수집은 2020년 9월부터 2021년 8월까지 실시되었다. 설문조사는 온라인 및 모바일로 진행되었으며, 참여자들은 설문 시 스템의 동의서를 읽고 참여를 원하는 경우 ‘동의’ 버튼을 누른 후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자료분석은 1:4 성향점수매칭 (Propensity score matching), 서술 통계, 카이제곱 검정, t-test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참여자 중 일반 패 드형 생리대 사용자는 94.1%, 탐폰 사용자는 5.9%로 나타났으며, 사용 생리대 유형과 월경불편감의 관련성을 규명하기 위한 최 종 모델에서 30세 이상(ß=-.157, p=.043), 서서 일하는 시간 1-4(ß=-.131, p=.040), 수면장애(ß=.337, p<.001), 탐폰 사용(ß=.130, p=.005)이 월경불편감의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가임기의 여성이 자신의 월경특성에 맞는 최적의 생리대 유형을 선택할 수 있도록 월경관련 교육 시 다양한 생리용품의 특성에 대한 내용이 포함될 필요가 있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설계
2. 연구 대상
3. 연구도구
4. 자료수집 방법
5. 자료분석 방법
6. 윤리적 고려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