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examines the response patterns based on the
한국어
본고는 병자호란 당시 扈從臣으로 참전했던 石之珩의 ≪南漢解圍錄≫ 과 勤王兵으로 참전한 申適道의 <倡義日錄>을 대상으로 응전 양상을 살펴본 것이다. 석지형은 병자호란의 경과를 착실하게 기록하여 책으로 엮어서 자 신의 입장을 정리하고, 이를 독자들에게 제시하려는 의도였다. 斥和 에 대한 비판과 함께 主和의 입장에 설 수밖에 없었던 자신의 태도에 대한 정리가 필요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나라의 존망 때문에 어쩔 수 없이 화친을 선택할 수밖에 없었음을 말하면서 한편으로는 명에 대 한 의리를 저버리지 않는 태도도 보여 주었다. 비록 청에 굴복하는 상황에 이르기까지 했으나 여전히 존명배청의 태도는 견지하고 있음 을 알 수 있다. 영남에서 擧義하여 근왕병으로 참전한 신적도는 자신의 종군 체험 을 <창의일록>으로 남겼다. 신적도는 평소에 갖고 있었던 충의의 신 념을 행동으로 발현하였고, 그 체험을 일기로 기록했다. 일기를 통해서 청에 대한 저항 의지는 물론이거니와 명에 대한 사대 의리를 동시에 엿볼 수 있다. 남한산성 내외에서 병자호란을 겪었던 사대부들은 주화든 척화든 어 느 한 편을 지지했으나 그 저변에는 대명의리에 입각한 존명배청 의식 이 자리하고 있었음을 실기를 통해 엿볼 수 있었다. 대명의리와 척화는 결코 인조반정 주도 세력만의 지향이 아닌 당시 조선 사대부 전체가 공 유하는 이념이자 가치가 되어 갔던 것이다. 젊은 나이에 호종신으로 참 전한 인물의 실기나 노년의 나이에도 불구하고 거의해 근왕병으로 참전 한 인물의 실기를 통해 이는 어렵지 않게 읽어낼 수 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扈從臣의 실기 : ≪南漢解圍錄≫
Ⅲ. 勤王兵의 실기 : <倡義日錄>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