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conducted in Geolpo-dong and Gamjeong-dong near Gimpo-Hangang New Town, examines an area adjacent to the Han River estuary, a major wintering ground for migratory birds. Over 59 surveys from October 2015 to March 2022 in four representative rice fields (sites A-D) recorded 44,942 individuals from 32 genera and 72 species. Site D, a large area near the Han River, exhibited high species diversity. Despite lower diversity in areas under development (sites A, B, C), ongoing species influx and utilization persist. The study focuses on Anser fabalis, a species predominantly utilizing rice fields, and identified their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The analysis revealed 162 instances of population influx, with over a 30-fold increase observed across 39 surveys conducted over a 30-month period (October to March, `15∼`22 ). The area, a key wintering site for migratory birds of Janghang Wetland, about 5 km from feeding sites, is heavily utilized by migratory geese, indicating the region’s high value considering migration distance and anticipated continuous bird influx despite urban expansion. Therefore, future developments should preserve ecological corridors and connected stepping stone habitats to not only preserve existing habitats but to secure alternative feeding sites, ensuring smooth movements and mitigating habitat loss.
한국어
본 연구 지역은 김포한강신도시 주변 걸포동, 감정동 일원으로 한강하구 철새도래지역과 인접하여 지속적인 철새류 이 입이 이루어지고 있는 지역이며, 해당 지역의 논 습지는 오리․기러기류의 먹이 공급원으로 이용되고 있다. 4개 논 습지 (site A∼D)를 대상으로 2015년 10월∼2022년 3월(총 59차례)까지 관찰된 조류는 총 32과 72종 44,942개체였으며, 상대적으로 넓고 한강과 접한 site D에서 높은 종과 개체수를 보였다. 개발이 시행된 site A와 주변(site B, C) 지역 조 사에서는 상대적으로 종수가 낮았으나, 개발이나 간섭의 증가로 섭식지가 소멸되거나 감소하지만, 지속적인 종 이입과 잔여 섭식지를 이용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대상 지역 이입 종 중 우점종이며 법정보호종으로 논 습지를 섭식지로 이용하는 큰기러기를 대상 종으로 선정하고, 분포 특성을 기간별 분석한 결과(`15∼`22년, 10∼3월, 총 30개월) 총 39 차례 162회 개체군이 이입되는 등 개체수가 최대 30배까지 증가하였다. 이런 결과는 연구 대상 지역이 한강하구 주요 철새도래지역인 장항습지(월동지)와 섭식지간 이용하는 기러기류 실태조사에서 약 5km 내 섭식지를 집중적으로 이용 하고 있는 것에 따른 결과라 판단되며, 연구 지역 일대가 이동 거리상 가치가 높은 지역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향후에 도 지속적으로 이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 대상 지역의 경우 도시 확장에 따른 섭식지 소멸이나 감소가 발생하더라 도 지속적인 종이입이 예상되며, 장래 개발 시 잔존 서식지 보존 외에 대체 섭식지 확보와 밀려나게 될 섭식지로의 원 활한 이동을 위한 생태적 코리더의 보호와 코리더와 연결된 징검다리 서식지 확보 대책이 수립돼야 할 것이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지역
2.2 조사방법
2.3 종 정리 및 대상종 선정
2.4 군집분석
2.5 대상종의 이동거리를 고려한 섭식지 분석
2.6 통계분석
3. 결과
3.1 조류조사결과
3.2 연구대상지역간 유사도분석
3.3 법정보호종(멸종위기 야생생물, 천연기념물) 및 IUCN 적색목록종 현황
3.4 개체수 변동추이
3.5 연구대상지역 주변 섭식지 분석
4. 결론 및 고찰
4.1 연구 대상 지역의 시기별 월동 조류 이입 변동 추이
4.2 섭식지 변화에 따른 월동 조류 및 대상 종의 개체수변동 추이
4.3 섭식지로 가치평가 및 원인분석
4.4 서식지 보전과 이용에 대안 대책과 정책 제언
References
Append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