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NCS-based vocational curriculum is reflected in academic studies related to commercial high schools and what kind of research is needed, and to present meaningful information and implications for the academic development and field practice of commercial education. Accordingly, the trend analysis of commercial vocational high school-related research was set as a research question, and a total of 47 related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from 2014 to 2023, were analyzed according to five criteria: research year, published academic journal, research subject, research topic, and research metho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published the most in 2018, and in ‘The Journal of Business Education’. Research on students, and quantitative research was the most frequently conducted. Research topics were categorized into 10 categories. 'Specialized subject education content' has been studied the most in various specialized subjects. It is interpreted that the research reflected the discovery of occupations in various fields and vocational education in related specialized subjects. The 'NCS', the basis of the 2015 revised vocational curriculum, was studied the next most as studies on job competency education. It was followed by 'work first-then to college' and 'career', 'employment', 'instructional method', 'school life', and 'college entrance', 'career path', and 'high school credit system'.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the need for various studies linked to school-industry-academy by detailed fields of management and finance.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산업수요에 대응하는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 도입이 상업계 고등학교 관련 학술 연구에 어떻게 반영되어 왔고 향후 어떠한 연구가 필요한지를 탐구하여, 상업교육 연구의 학문적 발전과 학교 교육 현장 실천의 개선에 의미 있는 정보와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에 있다. 이에 상업계열 직업계 고등학교 관련 연구의 동향 분석을 연구문제로 설정하고, 2014~2023년간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총 47편의 관련 연구논문을 연구연도, 게재 학술지, 연구대상, 연구주제, 연구방법의 5개 준거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연도는 2018년에, 게재 학술지는 ‘상업교육연구’에, 연구대상은 학생대상 연구가, 연구 방법은 양적연구가 가장 많이 게재되었다. 10개로 범주화된 연구주제 중, ‘전문교과 교육내용’ 주제가 다 양한 전문교과로 다각화·확대되는 추세를 보이며 가장 많이 연구되었는데, 노동시장 변화에 대응하여 다 양한 분야의 취업 직종 발굴과 그와 관련한 전문교과의 교육 개선이 연구로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다 음으로 2015 개정 직업교육과정의 기반이 된 ‘국가직무능력표준’이 산업계 직무능력 교육 관련 연구로 많 이 수행되었다. 이어 직업계 고교 교육의 목적인 취업 진로에 대한 ‘선취업-후진학’과 ‘진로’, ‘고졸취업’, 다음으로 ‘교수·학습방법’, ‘학교생활’, ‘고졸진학’ 및 ‘경력경로’와 ‘고교학점제’의 순으로 높은 빈도를 차지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향후 경영·금융 교과군의 세부 분야별로 고교-산업계-학계 간 연계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상업계 고등학교 직업교육과정의 최근 변화
2. 직업계고 관련 동향 분석 선행연구
III. 연구 방법
1. 분석 대상
2. 분석 방법 및 분석 틀
IV. 연구 결과
1. 연구연도에 따른 분석
2. 게재 학술지에 따른 분석
3. 연구대상에 따른 분석
4. 연구주제에 따른 분석
5. 연구방법에 따른 분석
V. 논의 및 결론
1. 논의
2.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