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학교 밖 선생님’으로 살아가기 : 교과교습학원강사의 일하는 삶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of hagwon instructors' lives and work.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interviews with five hagwon instructors who teach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Through the narrative inquiry method, we sought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living as a hagwon instructor through the process of telling and retelling their life storie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hagwon instructors chose their work by chance or through various motivations, and they were growing as out-of-school teachers with their aptitude and love for work. Second, hagwon instructors experienced various confusions and conflicts in their work. Students as pupils and clients, external gaze as a private tutoring worker, and life without evenings became factors that caused conflict and alienation in their lives. Third, hagwon instructors were forced to lead a different working life, which could be summarized as a life for survival. The above findings demonstrate the unstable labor reality and conflicts that hagwon instructors face while engaged in the education business under fierce market competition. Nevertheless, they were growing into out-of-school teachers and educators for students through the meaning, value, and sense of mission of work.
한국어
본 연구는 학원강사의 삶과 일의 의미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서 울지역의 학원에서 초·중·고등학생들을 가르치는 교과교습학원강사 5명을 대상으로 인 터뷰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내러티브 탐구를 바탕으로 이들의 삶의 이야기를 말 하고 다시 말하는 과정을 통해 학원강사로서 살아가는 의미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 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연한 계기 혹은 다양한 동기 속에서 학원강사는 일 을 선택하였고 자신의 적성과 일에 대한 애정을 가지고 ‘학교 밖’선생님으로 성장하고 있었다. 둘째, 학원강사는 자신의 직업 영역에서 갖가지 혼란과 갈등을 경험하였다. 제자이 자 고객인 학생, 사교육 종사자로서 느끼는 외부의 시선, 저녁이 없는 삶 등은 학원강사의 삶에서 갈등과 소외를 경험하는 요소가 되었다. 셋째, 학원강사는 학교 교사와는 다른 선 생님으로서 일하는 삶을 영위할 수밖에 없었다. 그것은 한 마디로 생존을 위해 치열한 수 업 현장을 이끌어가는 삶으로 요약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학원강사가 불안정한 노동 현실과 치열한 시장 경쟁 상황 속에서 겪는 갈등을 보여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들은 일의 의미와 가치 그리고 사명감을 통해 학생을 위한 학교 밖 선생님이자 교육자로 성장하고 있었다.
목차
<요 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사교육 시장과 학원강사
2. 사교육에서의 교육자
3. 일의 의미와 직업정체성 형성
Ⅲ. 연구방법
1. 내러티브 탐구
2. 현장의 이야기 공간에 들어가기
3. 현장 텍스트 구성하기
Ⅳ. 학원강사로 산다는 것
1. 우연히 들어선 길
2. 성장통을 경험하다
3. 교육자로서 눈을 뜨다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