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학생 주도성을 제고하는 수업을 위한 교사들의 노력과 갈등에 대한 질적사례연구

원문정보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eachers’ efforts to develop student agency in their teaching practice

김지수, 서경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growing focus on 'student agency' in Korea,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OECD Education 2030 framework. This shift also stems from a critical reassessment of Korean education, which has historically overlooked student autonomy. Many Korean researchers have explored ways to enhance or assess student agency. However, there is limited knowledge about how teachers foster student agency in their classroom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eachers' efforts to promote student agency in their teaching practices. Two teachers were chosen as participants for this research, and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m. The findings revealed that teachers' attempts to cultivate student agency went beyond merely offering more choices or increasing student involvement through additional activities. Instead, teachers consistently worked to create learning environments that support and encourage student agency and aimed to be co-agents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Despite these efforts, teachers faced significant structural challenges within the Korean education system. In conclusion, the implications of these challenges on teachers' efforts were discussed.

한국어

우리 교육에 ‘학생 주도성(Student Agency)’ 열풍이 불고 있다. 이는 근본적으로는 우리 교 육이 그간 학생 주도성을 제고하는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지 못했다는 비판적인 성찰에서 비 롯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간 학생 주도성에 대한 연구는 주로 학생 주도성을 함양하거나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마련하는 데 중점을 두어오면서, 실제 교사들이 현장에서 어떠한 노 력을 기울이고 있는지를 이해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질적사례연구방법을 활용하여 교사들이 학생 주도성을 제고하는 수업을 위해 어떠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어떠한 고민, 어려움, 갈등을 경험하는지 고찰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학생들의 선택과 참여를 확대하는 방식으로 학생 주도성을 제고하고자 노력하였다. 그러나 교사들의 노력은 진도, 시험 등 입시 경쟁 체제 하에서의 현실적인 필요와 요구로 많은 어려 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학생 주도성을 제고를 위한 공동주체로서의 교사의 역할에 대한 고민과 갈등이 깊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우리 교육 체제가 ‘교과’와 ‘학생’, ‘지식’과 ‘경험’, 학습의 ‘과정’과 ‘결과’를 이분법적으로 구분하기보다 그 사이에서 정교하게 균형을 잡 아가며 교사와 학생을 수업의 공동주체로 세워야 함을, 특히 학교에서 무엇을 가르치고 배워 야 하는가를 논의, 결정하는 공동체적 과정에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는 기회와 여건을 마련 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함을 논의하였다.

목차

요약
Ⅰ.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 방법
1. 질적사례연구
2. 연구참여자
3. 자료 수집 및 분석
Ⅳ. 연구 결과
1. 윤교사의 이야기
2. 신교사의 이야기
Ⅴ. 논의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지수 Jisoo Kim. 이화여자대학교 박사과정
  • 서경혜 Kyounghye Seo.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