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Development of the National Training Support Card Trainee Satisfaction Survey Tool : Focusing on Unemployment Training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vamp the HRD-Net trainee satisfaction survey introduced in 2010 to reflect changes in the training system, trainee needs, and diversification of training methods. To this end, we reviewed previous research and related data, created a draft survey tool, revised and supplemented the survey tool through expert review, and finally developed the survey tool through trainee pilot testing and face validity review.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rainee satisfaction survey tool consists of three areas, including training service quality, overall satisfaction, and training performance, and the components for each area are six, one, and two factors, respectively. A total of 17 to 19 questions were developed for each training method. As a sub-component by area, training service quality consists of six factors including training course field orientation, training course organization and operation, instructor, evaluation and feedback, training environment and equipment, and career development support. Overall satisfaction is a single factor, training outcomes consisted of individual outcomes and process outcomes. Second, the reliability of the trainee satisfaction survey tool was very good, ranging from .971 to .980. In a review of the face validity of the survey tool through interviews with trainees, it was reviewed that the training situations in which participants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were well reflected in all training methods without duplication, and that the expression of the survey questions was generally easy to understand. Third, the discriminatory power of the trainee satisfaction survey tool showed that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of the developed tool (.138~.259) was higher than that of the existing tool (.133~.207) in all training methods.
한국어
HRD-Net 만족도 조사도구는 2010년 처음 도입된 이후 많은 제도 변화가 있었지만, 조사도구가 동 일하게 사용되고 있어 훈련생 관점의 훈련반응과 효과 측정에 한계가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산업구조 변화에 따른 새로운 훈련사업과 훈련방식 도입, 학습효과 관리를 위한 훈련이수자 평가 등 변화된 훈련 제도를 반영하여 훈련생의 반응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와 관련 자 료를 검토하여 조사도구 초안을 구성하고, 전문가 검토를 통해 수정·보완하였다. 또한 훈련생 파일럿 테스트와 안면 타당도 검토 등을 거쳐 최종적으로 조사도구를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훈련생 만족도 조사도구는 훈련서비스 품질, 전반적 만족도, 훈련성과의 3개 영역 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영역별로 6개, 1개, 2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었다. 훈련방식(집체, 원격, 혼합 훈련)별로 총 17~19개 문항이 개발되었다. 훈련서비스 품질은 훈련과정 현장지향성, 훈련과정 편성 및 운영, 교강사, 평가 및 피드백, 훈련환경 및 장비, 경력개발지원의 6개 요인으로 구성되었고, 전반적 만 족도는 단일 요인이며, 훈련성과는 개인성과와 과정성과로 구성되었다. 둘째, 훈련생 만족도 조사도구 의 신뢰도는 .971~980으로 매우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훈련생 인터뷰를 통한 조사도구의 안면 타당도 검토에서는 모든 훈련방식에서 훈련 상황이 중복되지 않고 잘 반영되었으며, 조사문항도 이해하기 쉽 게 표현되었다. 셋째, 훈련생 만족도 조사도구의 변별력은 모든 훈련방식에서 개발된 도구(.138~.259) 의 변동계수가 기존 도구(.133~.207)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개발된 조사도구는 훈련제도의 변화와 훈련생의 다양한 요구를 반영하여, 훈련생 만 족도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훈련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2.1 HRD-Net 훈련생 만족도 조사 도입 및 활용
2.2 훈련제도 변화 및 HRD-Net 만족도 조사 문제점
2.3 훈련서비스 품질 관련 훈련생 주요 민원사항
2.4 교육훈련 만족도 조사도구 관련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3.1 연구절차
3.2 훈련생 만족도 조사도구 초안 구성
3.3 연구 참여자
3.4 자료수집 및 분석
Ⅳ. 연구결과
4.1 훈련생 만족도 조사도구 영역 및 구성요인, 조사문항 개발
4.2 훈련생 만족도 조사도구 신뢰도와 안면 타당도
4.3 훈련생 만족도 조사도구 기술통계와 변별력
4.4 훈련생 내용 타당도를 반영한 만족도 조사도구 최종안 도출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ferences)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