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Life History of a Women with Fentanyl Addiction
초록
영어
The aim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lives of female fentanyl addict from a life continuum perspective, and to provide countermeasures to the problem of fentanyl addiction. For this purpose, participant was a women in her 20s, and the data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ere analyzed by applying ‘life domains’, ‘turning points’, and ‘adaptations’ according to Mandelbaum(1973) framework.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ve themes were emerged from dimension: ‘Childhood scars caused by parental neglect and absence’, ‘Drug use that began with emptiness in adolescence’, ‘College student indulges in hallucinations and pleasures’, ‘Fentanyl as a substitute for unemployment, loneliness, and suffering’, ‘The life of a fentanyl-dominated addict who is not me’. The turning points appeared in, ‘Confronting My Miserable Self’,‘Trying to break free from dependency on people and drugs’, and ‘Meet with a Recovery Counselor’. The adaptation were ‘Overcoming Isolation through Recovery Meetings’ ‘Moving into a Growing Being with the Power of Limitations’. Based on the above results, directions of policy and practical interventions were discussed for women with fentanyl addiction and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of drug addicts.
한국어
본 연구는 여성 펜타닐 중독자의 삶을 생애 연속적인 관점에서 이해하고, 이를 통해 펜타닐 중독 문제에 대한 대응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대 여성을 연 구참여자로 선정하였고, 심층 면담을 통해 수집한 자료는 Mandelbaum(1973)이 제시한 ‘삶의 영 역’, ‘전환점’, ‘적응’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삶의 영역에서는 ‘부모의 무관심과 부재로 생긴 유년기의 상흔’, ‘청소년기 공허함에서 시작된 약물 사용’, ‘환각과 쾌락에 빠져든 대학 생활’, ‘실직, 외로움, 고통의 대체재로 선택한 펜타닐’, ‘내가 아닌 펜타닐에 지배된 중독자의 삶’으로 드 러났다. 전환에서는 ‘비참해진 자신과 마주함’, ‘사람, 약물과의 의존적 관계에서 벗어나기 위해 시 도함’ ‘회복상담사와의 만남’ 적응에서는, ‘회복모임을 통해 고립상태를 극복해 감’, ‘한계의 힘과 더불어 성장하는 존재로 나아감’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펜타닐 중독 여성 및 마 약류 중독 치료재활을 돕는 정책적 및 실천적 개입의 방안을 제안하였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