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plores the correlation between Friedrich Nietzsche's art physiology and the biblical event ‘David's Dance.’ Nietzsche's art is seen as a process of self-discovery and creating one's life as a work of art. It is viewed as a means of liberating human instinctual energy and vitality. From his perspective, David's dance is interpreted as a symbolic act in which his religious passion is expressed as an inner impulse. This study analyzes David's dance from Nietzsche's art physiological perspective and deeply explores the artistic elements and their significance in David's dance in terms of Nietzsche's ecstasy, self-realization, and Dionysian artistic expression. Additionally, it aims to integrate and analyze the reinterpreted David's dance by combining it with ‘Biblical HYO.’(filial piety) Through this, it reveals that David's dance is not merely a religious act but an important model with deep connections between artistic expression and religious practice. From Nietzsche's viewpoint, every person can be regarded as an artist who creates unique value through life, and the world formed by their artworks becomes a field of energy. In this context, 'Biblical HYO' positions itself as an important realm of artistic expression that achieves life's balance in modern society, beyond simple moral norms.
한국어
본 연구는 프리드리히 니체의 예술생리학과 성서적 사건 ‘다윗의 춤’ 간의 상관관계를 탐구 한다. 니체의 예술은 자신을 찾아가는 과정이자 자신의 삶을 하나의 예술작품으로 만드는 창조적 예술과정으로 바라본다. 즉, 니체의 관점에서 예술은 인간의 본능적 에너지와 생명력 을 해방시키는 매개체로 기능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다윗의 춤은 다윗의 내재된 신앙적 열 정이 외적으로 표출된 상징적 행위로 해석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다윗의 춤을 니체의 예술생리학적 관점에서 분석하며, 다윗의 춤에서 나타나는 예술적 행위 요소와 그 의미를 니체의 도취(Ecstasy), 자아실현, 디오니소스적 예술 표현 등 의 측면에서 심층적으로 탐구하고, 재해석된 다윗의 춤에 ‘성경적 효’를 결합하여 통합적으 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다윗의 춤이 종교적 행위의 범주를 초월하여 예술적 표현과 신앙적 실천의 깊은 연관성을 지닌 중요한 모델임을 밝힌다. 니체의 시각에서 모든 사람은 삶을 통해 고유한 가치를 창출하는 예술가로 간주될 수 있으 며 그들의 예술작품으로 형성된 세계는 에너지를 발산하는 장(場)이 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성경7효(HYO)’는 도덕적 규범의 차원을 넘어서, 현대 사회에서 삶의 균형을 이루는 예술적 표현의 본질적 영역으로 재정의된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 문제 제기
Ⅱ. 본론
1. 니체의 예술생리학 개요
2. 다윗의 춤: 성서적 배경과 의미
3. 도취의 예술: 니체의 예술생리학으로 본 다윗의 춤
4. ‘다윗의 춤’과 성경7효의 통합적 분석
Ⅲ.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