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전각(篆刻)에서 고의(古意)의 의미 고찰 - 도가의 본성(本性)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meaning of Ancient Thoughts in seal engraving art -Focusing on the Nature of Taoism-

황은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Focusing on the nature of the Taoist, this study discusses the meaning of ‘Ancient thoughts[古意]’ in seal engraving art and the technique of revealing the ‘ancient thoughts’ in the process of seal engraving. Although the seal engraving art has a long history, self-awareness as art began only in the Song Dynasty, and it coincides with the ‘Back-to-the-ancients ideology[復古思想]’. And by the Yuan Dynasty, the seal engraving art was already in the middle of the big flow of ‘Back-to-the-ancients ideology’. For example, many ancient thoughts are revealed in seal theory of the Song and Yuan Dynas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ack-to-the-ancients thought’ in seal engraving art and the nature of Taoist thought can be explained by “Ancient thoughts theory[古意論]” Zhao Mengfu[趙孟頫], who strongly advocated ‘Back-to-the-ancients ideology’ at that time. The "following Ancient thoughts" advocated by Zhao Mengfu is to borrow the "will[意] of the ancients" to obtain one’s own meaning, which contains the "pursuit nature of Taoism" and can be explained as the "clumsy and simple", "coexistence of being and nothingness", and "natural inaction" as a seal carving style, space, and spirit of seal engraving. Techniques such as remnants and upheaval break or dig up a certain space in the final stage of creation to express the ‘clumsy style’, ‘the operation of space for the Coexistence of being and nothingness’, and ‘the spirit of natural inaction’.

한국어

본 연구는 도가사상의 도(道)의 본성을 중심으로 하여 전각에서 고의의 의미 및 전각 창작 과정에서 고의를 드러내는 기법을 논한 것이다. 전각은 그 역사가 길지만, 송대에 이르러서야 예술로서의 자각이 시작되었고 복고사상과 그 시작을 같이한다. 그 리고 원대에 이르러 전각은 이미 복고사상이라는 큰 흐름 가운데에서 연구되었다. 그 예로 송원대 인론 속에는 복고사상이 많이 드러나 있으며, 그 안에 내포된 전각의 복고 적 사유와 도가사상 도와의 관계는 당시 복고사상을 강하게 제창했던 조맹부의 고의론 을 통해 설명될 수 있다. 조맹부가 주장한 ‘고의를 따름’은 ‘옛 사람들의 뜻’을 빌려 자 신의 의미를 획득하는 것이며, 그것은 ‘도가의 본성 추구’를 내포하는 것으로, 전각의 풍격, 공간, 정신으로서의 ‘졸박’, ‘유무상생’, ‘무위자연’으로 해석될 수 있다. 잔파, 격 변 등의 기법은 창작의 마무리 단계에 일정한 공간을 깨뜨리거나 파내어 졸박한 풍격, 유무상생의 공간 운용, 무위자연의 정신을 표현한다.

목차

Ⅰ. 序論
Ⅱ. 송원대 인론 속 복고사상과 도가의 도(道)
Ⅲ. 조맹부의 고의론(古意論)
Ⅳ. 전각에서의 고의(古意)
1. 졸박, 유무상생, 무위자연
2. 고의를 위한 전각 기법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황은아 Hwang Eun-Ah. 성균관대학교 유학동양한국철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