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Modern calligraphy in Korea started from reinterpreting traditional calligraphy based on an exploration of traditional techniques and theories. Based on the exploration of traditional calligraphy, it led to a wide range of acceptance and self-transformation of Chinese calligraphy. It was a process of exploring the modernity that responded to this era by attempting to accept and transform classics through various exhibition activities. In particular, the 'modern calligraphy' movement, which began in the early 1990s, maintained the essence of calligraphy but made it possible to express various signs, images, and even symbolic 象, including letters. This method of expression was applied not only to flat surfaces but also to three-dimensional, installation, performance, and video, and the tools and materials of expression were also used as objects, away from paper- based ink. The unconventional and abstract work of the calligraphy was developed in the direction of condensing the pure formative language of the artist without lies and pretensions in the writing by using the basis of the writing as a writing stroke. Through the stroke of writing, the symbolic elements of calligraphy that cannot be expressed in numerous existing letters were maximized through the passage of time of the flag that only one writing stroke itself has and the operation of the spatial margin accordingly. This transformed the modern calligraphy culture from 'reading calligraphy' to 'viewing calligraphy'. Eliminating all flashiness, destroying the extreme sophistication revealed in organized letters through pure writing, and creating the primary vitality of nature eventually led to the creation of various expression forms to restore the artistic source to pure writing itself. Such a phenomenon was remarkable in the calligraphy performance. It destroyed even the meaning and form as letters, and advanced not only to 'visible calligraphy' but also to 'feeling calligraphy' by capturing the flow of spirit brought by writing as a representation of meaning. Hangeul calligraphy also inherited the tradition, but advanced from the practical aesthetic sense of narrative and record, strengthening the element of fine art through the release of free sensibility by a stroke of writing. Breaking away from the uniform repeatability of the monotonous combination of Hangul consonants and vowels, changes in writing and form that can expand synergy when Hangul meets calligraphy, and one-off, improvisation, and painting have created a rich sense of aesthetics of Hangul calligraphy. In modern times, calligraphy is reinforced as individual calligraphy rather than well-written calligraphy, creative calligraphy more than normative calligraphy, and calligraphy as art more than cultivation. In other words, modern Korean calligraphy is focusing on expanding the fine artistic aspect while aiming for the inheritance of tradition and creation through reinterpretation of the essence, the pursuit of unconventional wisdom through creation, and the art of Hangul calligraphy.
한국어
한국의 현대 서예는 전통의 기법과 이론에 대한 탐구를 기반으로 전통 서예를 재해석하는 데서 출발하였다. 전통 서법에 대한 탐구를 토대로 폭넓은 중국 서예의 수 용과 자가적 변용으로 이어졌다. 다채로운 전시 활동을 통해 고전의 수용과 변용을 시 도하였고, 이 시대에 부응하는 현대성을 탐색하는 과정의 연속이다. 특히 1990년대 초부터 시작된 ‘현대서예’ 운동은 서예의 본질은 유지하되 문자 를 포함하여 다양한 부호와 이미지, 상징적인 물상物象까지 표현을 가능케 했다. 이러 한 표현 방식은 평면뿐만 아니라 입체․설치․퍼포먼스․영상 등으로 응용되었고, 표 현의 도구와 재료 또한 지필연묵에서 벗어나 주변의 모든 것이 오브제로 활용되었다. 서체의 파격과 추상 작업은 조형의 근간을 필획으로 삼아 필획에 거짓과 가식이 없는 작가의 순수한 조형언어를 응축시키는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일필휘지一筆揮之를 통해 하나의 필획 그 자체만이 가지고 있는 기氣의 시간적 흐름과 그에 따른 공간 여백 의 운용을 통해 기존의 수많은 글자로 표현하지 못하는 서예의 상징적 요소를 극대화 시켰다. 이는 현대의 서예문화를 ‘읽는 서예’에서 ‘보는 서예’로 전환하였다. 모든 현란함을 덜어내고 순수한 필획을 통해 조직화된 글자에 드러나는 극도의 세련미를 파괴하고 자연의 원초적 생명력을 창출하는 것은 결국 예술적 근원을 순수 필획 그 자체로 회복하기 위한 다양한 표현형식의 창출로 이어졌다. 그러한 현상은 서 예 퍼포먼스에서 두드러졌다. 글자로서의 의미와 형식마저도 파괴하며 의미의 표상으 로서 필획이 가져다주는 기氣의 흐름을 포착하여 ‘보는 서예’ 뿐만 아니라 ‘느끼는 서예’ 로까지 진일보하였다. 한글서예 또한 전통을 계승하되 서사와 기록의 실용적 미감에서 진일보하여 일 필휘지에 의한 자유로운 감성의 발로를 통해 순수예술적 요소를 강화하였다. 단조로운 한글 자․모음의 조합이 지닌 획일적 반복성에서 벗어나 한글이 서예와 만났을 때 시 너지가 확대될 수 있는 필획과 조형의 변화, 일회성․즉흥성․회화성 등은 한글서예의 풍부한 미감을 조성했다. 현대는 잘 쓰는 서예보다 개성있는 서예, 규범적인 서예보다 창의적인 서예, 수양으로서의 서예보다 예술로서의 서예가 강화되고 있다. 즉, 한국의 현대 서예는 본질의 재해석을 통한 전통의 계승과 창신, 창신을 통한 파격의 추구, 한글서예의 예술화 등을 지향하는 가운데 순수예술적 측면을 확장해가는 데 주력하고 있다.
목차
Ⅱ. 전통의 재해석
Ⅲ. 창신과 파격
Ⅳ. 한글서예의 예술화
Ⅴ.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