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形神論과 회화창작의 관계성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nd Theory of form and spirit and Painting Creation

이은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discussion of form and spirit is a matter related to formative and artistic spirit in painting creation. What I paid attention to in this paper w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ory of form and spirit" and painting creation. The background of the "theory of form and spirit" began with the religious view of China's "Sangsang era" and the "Yinyang notion" of the "advanced era," which was developed from various perspectives under the influence of the "Jeja Baekga." In the era of the Weijin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which applied the problem of Hyungshin to literary creation in earnest, 'Gogaeji' and 'Sahyeok' discussed the concept of 'delivering the spirit'. It was emphasized that the 'spirit of the object rather than the form' should be contained in the painting in the painting, which expanded to the concepts of 'drawing mainly based on form' and 'drawing mainly based on revealing the spirit' and became the standard for painting. Paintings from the 'Chunchu Warring States Period' to the 'Han Dynasty' were mainstream in the 'shape-like painting' style with edifying content. Entering the 'Wijin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the relationship between 'drawing mainly on form' and 'drawing mainly on revealing the mind' was emphasized. In the Tang Dynasty, the importance of 'drawing mainly on revealing the spirit' was not neglected. However, when entering the Song and Yuan dynasties, 'sansuhwa' flourished, pursuing the 'sacredity' of 'literature', emphasizing 'drawing mainly on revealing the mind', and neglecting 'drawing mainly on form'. Later, in the Ming and Qing dynasties, they again argued that 'if you express your form well first, your mind should be revealed well next time' as a reflection on the previous era This process of change in morphology was influenced by ideological changes of the times and was naturally applied to the paintings of artists. Although discourses about "drawing mainly on form" and "drawing mainly on revealing the mind" were divided, what is important in Chinese painting is "drawing mainly on revealing the mind." When applying the concept of form and spirit to the problem of painting creation, it does not mean a realistic form of 'type', but a 'type' achieved by meeting the artist's 'mind and spirit'. If the concept of spirit is related to painting creation, first, the unique spirit of the object, second, the spirit and emotion of the artist, and third, the "Aura" from the work created by the object and the artist. Therefore, in painting creation, it is important to realize an independent world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objects and artists as well as the interaction between form and spirit.

한국어

형‧신에 관한 논의는 회화 창작에 있어 조형과 작가정신에 관련한 문제이다. 본 논문에서 주목한 것은 형신론과 회화창작과의 연관성이었다. 형신론에 대한 배경은 중 국 상고시대의 종교관과 선진의 음양관에서 시작되었고, 이는 제자백가의 영향 하에 다양한 관점으로 전개 되었다. 문예창작에 형신의 문제를 본격적으로 적용한 위진남북 조 시대에 고개지와 사혁은 ‘전신(傳神)’의 개념을 논했다. 인물화를 그리는데 있어서 형(形)보다 그 대상이 지닌 정신(神)이 그림 안에 담겨져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는데, 이는 ‘형사(形似)’, ‘신사(神似)’ 개념으로 확장 되어 그림을 품평하는 기준이 되었다. 춘추전국시대에서 한대까지의 회화는 교화적(敎化的) 내용의 형을 중심으로 하 는 중형사(重形似) 회화양식이 주류였다. 위진남북조 시기에 들어서는 ‘형사’, ‘신사’의 관계를 중요시하였다. 당(唐)대에서는 신사적 요소를 중시하면서도 형을 경시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송‧원(宋‧元)대에 들어서면서 산수화가 성행하고, 문인화의 사의성을 추구하며 신사를 강조하고 형사를 경시하게 된다. 이후 명‧청(明‧淸)대에서는 전 시대 에 대한 반성으로 다시 ‘선형사 후신사(先形似後神似)’를 주장한다. 이러한 형신론의 변화과정은 시대의 사상적 변화의 영향을 받았으며, 자연스럽 게 화가들의 그림에 적용되었다. 형사와 신사에 대한 담론이 분분했어도 중국회화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바는 중신사(重神似)이다. 형‧신의 개념을 회화창작의 문제에 적용해 볼 때, ‘형’은 전형적, 사실적 형태의 ‘형’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대상의 형이 작가의 심의(心意)와 만나 이루어낸 상(象) 을 말하는 것이다. 신(神)의 개념을 회화창작과 연관지어보면 첫째, 대상이 지닌 고유 한 정신, 둘째는 작가가 지니고 있는 성정(性情), 셋째는 대상과 작가가 만나 만들어낸 작품에서 나오는 ‘아우라(Aura)’ 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회화창작에서는 형‧신의 상호관계 뿐 아니라, 대상과 작가의 정경교융(情景交融)을 통해 독자적 세계를 구현해 내는 것이 중요하리라 본다.

목차

Ⅰ. 序論
Ⅱ. 形神觀의 발생과 전개
1. 形‧神개념의 형성 배경
2. 形神觀의 특징과 전개
Ⅱ. 形神論의 미학적 범주
1. 傳神의 개념
2. 形似와 神似
3.예술창작과 형신
Ⅳ.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은호 Lee EunHo. 홍익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