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Effect of Communication Attitudes with Residents on the Performance of Parliamentary Activities in Local Council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the Communication Base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 of communication attitudes with local councils and local residents on the performance of parliamentary activities and whether the communication base mediates them. Therefore, in this study, 311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for residents living in Uijeongbu City, and 300 copies were finally used for analysis. For the data analysis metho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communication attitude of local councils to residents showed a positive (+) effect on the performance of parliamentary activities. Second, it was verified that the communication base of the local council mediates between the communication attitude of the local council to the residents and the performance of parliamentary activities.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policy measures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parliamentary activities that have been lowered due to the local council’s low communication attitude with local residents through the improvement of the communication base of the local council to the residents and the local council’s communication.
한국어
본 연구는 지방의회와 지역주민과의 소통태도가 의정활동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소 통기반이 그들 간을 매개하는지를 검증하고자 수행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의정부 시에 거주하는 주민들을 대상으로 311부의 설문지를 배포하고 수거하여, 최종적으로 300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분석방법은 SPSS를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 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지방의회의 주민에 대한 소통태도는 의정활동성과에 정적(+) 영향을 보였다. 둘째, 지방의회의 소통기반은 지 방의회의 주민에 대한 소통태도와 의정활동성과 간을 매개하는 것을 검증하였다. 이상 의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지방의회의 주민에 대한 소통태도와 지방의회의 소통기반의 향상을 통해 지방의회의 지역주민과의 낮은 소통태도로 인해 낮아진 의정 활동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정책적 방안을 논의하고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목차
Ⅱ. 이론적 배경
1. 지방의회의 의정활동성과
2.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자
2. 연구모형과 연구가설
3. 연구도구
4. 자료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1. 연구대상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2. 주요 변수의 상관관계
3. 소통대도와 의정활동성과 간 소통기반의 매개효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