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Understanding of Student and Educational Challenges Revealed in School Maladjusted Student Support Policies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students’ views and think about educational challenges by examining the school’s policies to support maladjusted students since 1996.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hile the concept of school maladaptation before 1996 was intended to correct or treat students’ maladaptive behavior due to external influences, the meaning of the concept after that changed to a preventive concept that emphasized students’ potential. Second, representative policies for school maladaptive students include the expansion of alternative education, the drop-out consideration system, and the Wee Project, and these policies can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students’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and strengthening students’ class options. Third, at the core of the educational background of these policies lies the understanding of students as active and voluntary subjects. In this understanding, education policy appears to be oriented towards educational aspect on the surface, but in reality, there is still competition for entrance exams and the result is the emergence of students who are maladapted to school. Therefore, realistically, it seems that efforts should be made to improve the perception of education by parents who recognize high academic scores as a sign of academic ability, and to eliminate the ranking of universities.
한국어
이 연구는 1996년 이후의 학교 부적응학생 지원 정책에는 이전과 다른 학생 이해가 전제되어 있다고 보고, 관련 교육정책을 살펴보면서 그것을 드러내고 교육적인 것에 대해 생각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996년 이전의 학교부적응 개념은 외부의 영향력에 의해 학생의 부적응 행동을 수정하거나 치료하고자 했다면, 그 이후의 개념에서는 학생의 잠재성을 중시하는 예방적 차원이 강화되었다. 둘째, 학 교 부적응학생을 위한 대표적인 정책은 대안교육 확대, 학업중단숙려제, Wee 프로젝 트 등을 들 수 있고, 이러한 정책들은 학생들의 진로탐구 활동과 학생의 수업선택권 강 화라는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셋째, 이러한 정책들의 배경에 자리하고 있는 교육적 인 것의 핵심에는 능동적이고 자발적인 주체로서의 학생이 자리하고 있다. 이러한 이 해에서 교육정책은 표면적으로 교육적인 것을 지향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실제에 는 여전히 입시경쟁과 그로 인한 학교 부적응학생이 생겨나고 있다. 그러므로 학교교 육개선을 위해서는 교육의 본질적 가치실현을 위한 노력, 학업 점수를 학력으로 인식 하고 있는 학부모의 교육에 대한 인식 개선, 대학의 서열화를 해소하기 위한 노력이 함 께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목차
Ⅱ. 학교 부적응 개념의 의미변화
Ⅲ. 1996년 <학교 중도탈락자 예방 종합대책> 수립 배경과 학교부적응학생을 위한 정책적 노력
1. 수립 배경
2. 정책적 노력
Ⅳ. 학생중심 교육으로의 전환을 위한 정책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