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Understanding the Key Perspectives and Characteristics of Posthuman Ethnography
초록
영어
Posthumanism has emerged as a new paradigm in the social sciences, challenging anthropocentrism and urging a re-evalu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humans and non-humans. Based on posthuman theories, posthuman qualitative research has developed as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complexities of contemporary society, where various elements such as humans, technology, environment, and animals are intricately intertwined. Over the past two decades, research related to posthumanism and posthuman qualitative methodologies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in South Korea. This new methodology integrates various theories such as new materialism, actor-network theory, feminist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critical animal studies, and postcolonial methodologies, thereby expanding the boundaries of traditional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Despite the advancement of posthuman discourse, there remains a lack of concrete and practical discussions on posthuman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i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what posthuman ethnography entails, its purposes, research areas, and methodologies. By comparing traditional ethnography with posthuman ethnography, this study seeks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posthuman ethnography. Furthermore, the study presents research areas and examples of posthuman ethnography, contributing to the application and development of this new research methodology across various academic fields.
한국어
포스트휴머니즘은 인간중심주의에 도전하며, 인간과 비인간 간의 관계를 재인식하 도록 촉구하는 사회과학의 중요한 패러다임으로 떠올랐다. 이러한 새로운 존재론과 세 계관에 기초하여 포스트휴먼 질적연구는 인간, 기술, 환경, 동물 등의 다양한 요소들이 복잡하게 얽혀 있는 현대 사회를 보다 다층적으로 이해하려는 시도로 등장하였다. 과 거 20여년 동안 한국에서 포스트휴머니즘과 포스트휴먼 질적연구방법론 관련 연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 새로운 방법론은 신유물론, 행위자-네트워크 이론, 페미 니스트 과학기술학, 비판적 동물 연구, 탈식민주의적 방법론 등 다양한 이론을 결합하 여 전통적인 인문학 및 사회과학의 경계를 확장하였다. 이러한 포스트휴먼 담론의 발 전에도 불구하고 포스트휴먼 질적연구 방법론에 대한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논의가 부 족한 실정이다. 이에 연구자는 포스트휴먼 문화기술지가 무엇이며, 어떠한 목적으로 수행되고, 탐구 영역과 방법은 무엇인지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통적 문화기술지 와 포스트휴먼 문화기술지 비교를 통해 포스트휴먼 문화기술지의 특징을 명료화 하고 자 하였다. 또한 연구자는 포스트휴먼 문화기술지 탐구 영역과 예시를 제시함으로써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이 새로운 연구방법론의 적용과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목차
Ⅱ. 한국 학계의 포스트휴먼 담론
Ⅲ. 포스트휴먼 문화기술지
1. 포스트휴먼 문화기술지의 목적
2. 포스트휴먼 문화기술지 탐구 개념
3. 전통적 문화기술지와 포스트휴먼 문화기술지 비교
4. 포스트휴먼 문화기술지 탐구 영역
Ⅳ.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