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Design and Construction of a ‘Spatial’ Metaverse Platform to Promote Social Participation of the Disabled: Focusing on the Right to Access Information, the Right to Access Facilities, and the Right to Mobility
초록
영어
This study designed and implemented the Spatial Metaverse platform with a focus on information access rights, facility access rights, and mobility rights to promote the social participation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he research method used digital map data provided by the national land information platform to obtain spatial information, and QGIS (ver. 3.28.8) was used to extract necessary data such as roads, buildings, and elevations. Using AutoCAD (ver. 2023), duplicate lines were removed and the final map data was organized. As a result of the research, securing the right to access information, facilities, and mobility will serve as a positive factor in creating an environment that guarantees mobility, achieves psychological stability, and allows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o actively participate in society through virtual reality. In conclusion, the future direction of platform technology is shifting from a traditionally hardware-centered approach in the communication field to one centered on cloud-based software, driven by expectations for 6G communications. This shif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creating a living environment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promoting their social participation.
한국어
본 연구는 장애인 사회참여 촉진을 위한 정보접근권, 시설물접근권, 이동권에 초점 을 맞추어 Spatial 메타버스 플랫폼을 설계 구현한 연구이다. 연구방법은 국토정보플랫 폼에서 제공하는 수치지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공간정보를 획득하였으며, QGIS(ver. 3.28.8)를 이용하여 도로, 건물, 표고 등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하였다. AutoCAD(ver. 2023) 활용은 중복된 선을 제거하고 최종 지도 데이터를 정리하였다. 연구결과 정보접 근권, 시설물접근권, 이동권 확보는 가상현실을 통해 장애인이 이동권을 보장받고, 심 리적 안정을 취하며, 사회의 일원으로서 적극적인 사회참여 환경 조성에 긍정적인 요 소로 작용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다가오는 플랫폼 기술 방향성은 전통적 하드웨어 중 심이었던 통신 분야도 6G 통신에 대한 기대와 더불어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 중심 으로 패러다임은 변화하고 있으며 장애인 생활환경 조성과 사회참여 촉진에 기여할 것 으로 기대된다.
목차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1. Spatial 메타버스 플랫폼 설계
2. Spatial 메타버스 플랫폼 구현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