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육근관찰을 활용한 차명상 단회기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원문정보

Basic research to develop a short-term teameditation program with six-senses(chaindriyāni) observation

김준희

동학학회 동학학보 제71호 2024.09 pp.491-518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a basic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a shortterm tea meditation program using the six senses(cha-indriyāni). Tea meditation is a recently formed concept derived from the traditional tea practice of tea ceremony and focuses on exploring the effects of meditation through tea by applying the Buddhist concept of the six roots. Tea meditation seeks to consciously observe and focus on sensory experience through these six root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hort-term program that can demonstrate the benefits of tea meditation, including psychological calm, increased concentration, and insight, and to demonstrate its validity. Tea meditation combines concentration and insight meditation techniques through the process of savoring tea. The researchers emphasize that a tea meditation program can be an accessible methodology for beginners to meditati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ea meditation is divided into focused meditation and insight meditation. Concentration meditation involves focusing your attention on a specific object, while insight meditation involves observing the present moment without judgment and seeing things as they are. Tea meditation utilizes both of these meditation techniques simultaneously, focusing on the sensory experience of tea and observing the psychological effects that occur in the process. A tea meditation program using six-sense observation involves noticing the six sensory fields (objects of the six senses), including the color, aroma, taste, and texture of the tea. The program includes steps to help participants focus and gain insight through sensory experiences during the tea brewing process. As a form of Buddhist practice, tea meditation can be easily applied in daily life. The program is also expected to contribute to improved concentration and insight, as well as psychological stability and resistance to stress.

한국어

본 연구는 육근관찰을 활용한 차명상 단회기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연구이다. 차명상은 최근에 형성된 개념으로, 전통적인 차 수행인 다도(茶道)에서 비롯되었으나, 불교의 육근(六根)을 적용하여 차를 통한 명상의 효과를 탐구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차명상에서 이 육근을 통해 감각적 경험을 의식적으로 알아차리고 집중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차명상을 통해 심리적 안정, 집중력 향상, 통찰력 증진과 같은 효과를 얻고자 하며, 이를 위해 차명상을 단회기 프로그램으로 개발하여 실현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차명상은 차를 음미하는 과정을 통해 집중명상과 통찰명상의 기법을 결합한 수행법이다. 연구자는 차명상 프로그램이 명상 초보자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방법론으로서 활용될 수 있음을 강조했다. 차명상의 이론적 배경은 집중명상과 통찰명상으로 나뉜다. 집중명상은 특정 대상에 주의를 기울여 집중하는 것이며, 통찰명상은 현재 일어나는 현상을 비판없이 있는 그대로 알아차리는 과정이다. 차명상은 이 두 명상 기법을 동시에 사용하여, 차를 통해 감각적 경험을 집중하고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심리적 효과를 알아차리는 방법이다. 육근관찰을 활용한 차명상 프로그램은 차의 색, 향, 맛, 촉감 등 육경(六境)을 통해 육근을 자각하며 진행된다. 프로그램은 차를 우리는 과정에서 감각적 경험을 통해 집중과 통찰을 이끌어내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는 차명상이 불교 수행의 한 형태로서, 일상 속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는 명상법이다. 또한, 이 프로그램은 심리적 안정과 스트레스 저항력 증진뿐 아니라 집중력과 통찰력 향상에도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차명상’의 이론적 배경
2.1. 수행론의 관점에서 ‘육근’의 의미
2.2. 차명상에서 ‘육근’의 작용
3. 육근관찰을 활용한 차명상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제안
3.1. 프로그램 개발 배경
3.2. 육근을 활용한 차명상 효과의 가설 및 프로그램 개발 모형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준희 Joonhee Kim. 인천대학교 기초교육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