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과 일본의 ‘근대여성 만들기’ 비교연구 - 『가뎡잡지』와 『여학잡지』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Comparative Study on ‘Making Modern Women’ in Korea and Japan : Focusing on 『Kadyungjabji』 and 『Jyogakuzashi』

진은경

동학학회 동학학보 제71호 2024.09 pp.351-378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mages of women in the two magazines, Korea’s 『Kadyungjabji』(1907) and Japan’s 『Jyogakuzashi』(1885). As a research method, first, the background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founding of 『Kadyungjabji』 and Japan’s 『Jyogakuzashi』 were examined. Second, we conducted comparative literary research by examining not only the Western influence on Korea’s 『Kadyungjabji』 but also its correlation with Japan’s 『Jyogakuzashi』. Third, we were able to confirm the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of the female image in the discourses of male writers in Korea’s 『Kadyungjabji』 and Japan’s 『Jyogakuzashi』. First, the purpose of the two magazines’ founding was to enlighten women with the goals of ‘home improvement’ and ‘women’s improvement.’ The background of both magazines focused on the ideology of ‘family’, a Christian ideology. They instilled in women an education that valued family for the sake of the country rather than the advancement of women’s rights. Second, the influence and acceptance of the national language promotion movement of ‘The legend of Empress Jingu’s,’ ‘Newly Edited Home Economics’ and ‘Unification of Language and Literature’ was evid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s ‘Kadyungjabji’ and Japan’s ‘Jyogakuzashi.’ The results of this study compared the images of women by analyzing the discourse on the images of women presented by male writers in two magazines. In the 『Jyogakuzashi』, Japanese women were mixed with Western models to pursue the image of a ‘virtuous patriotic mother.’ In contrast, 『Kadyungjabji』 focused on ‘creating modern women’ as ‘mothers of the nation’ with the subjectivity of national consciousness. The images of women presented in the two magazines allowed us to examine the universality of the idea of a good mother and the uniqueness of the images of mothers pursued by both Korea and Japan.

한국어

본 연구는 한국의 『가뎡잡지』(1907)와 일본의 『여학잡지』(1885)를 대상으로 두 잡지에서 나타나는 여성상을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첫째, 『가뎡잡지』와 일본의 『여학잡지』의 창간 배경과 전개 과정을 살펴보았다. 둘째, 한국의 『가뎡잡지』에서 서구의 영향뿐만 아니라 일본 『여학잡지』와의 상관관계를 검토하여 비교문학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셋째, 한국의 『가뎡잡지』와 일본의 『여학잡지』에 나타난 남성 집필자들의 담론에 관한 여성상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의 내용으로 첫째, 두 잡지의 창간 취지는 ‘가정개량’과 ‘부녀개량’이라는 목적으로 여성을 계몽하였다. 두 잡지의 배경은 기독교사상인 ‘가정’ 이데올로기에 중점을 두었다. 여성들에게 여성 권리 신장보다는 부국강병을 위해 가정을 중시하는 교육을 주입했다. 둘째, 한국의 『가뎡잡지』는 일본 『여학잡지』와의 상관관계에서 ‘신공황후 사상’과 ‘신선가정학’, ‘언문일치’의 국문 장려운동에 관한 영향과 수용이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두 잡지에 나타난 남성 집필자들의 담론을 분석하여 여성상을 비교해 보았다. 『여학잡지』에서는 일본 여성을 서구의 모델과 혼용하여 ‘열녀 애국주의 어머니상’을 지향했다. 이에 반해 『가뎡잡지』에서는 민족의식의 주체성을 지닌 ‘구국의 어머니’로 ‘근대여성 만들기’에 주력했다. 두 잡지에서 나타나는 여성상(女性像)은 현모(賢母) 사상의 보편성과 한·일 양국이 지향하는 어머니상의 특수성을 살펴볼 수 있었다.

목차

국문초록
1. 들어가기
2. 『가뎡잡지』와 『여학잡지』의 창간 배경
3. 『가뎡잡지』와 『여학잡지』의 영향 관계
4. 『여학잡지』와 『가뎡잡지』가 지향하는 근대여성상
5. 나오면서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진은경 Eunkyung Chin. 고려대학교 학부대학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