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ubjective consciousness of the work by examining the characterization of the classic novel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고전소설 <최고운전>의 인물 형상화를 살펴 작품의 주제 의식을 고찰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연구 방법은 구조주의를 표방한다. 따라서 작품 내에서 최치원 주변 인물 형상화가 개별적, 우발적으로 그려진 것이 아니라 종합적, 전략적으로 구성된 것임 밝히고, 그 의미를 살펴 작품의 가치를 조금 더 깊게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연구의 내용은 기존에 많이 다뤄진 주인공 최치원과 그의 주변 인물(최치원의 능력을 온전히 인정하지 않는 권력자들-아버지, 중원 황제, 신라 왕, 중원과 신라의 조정 신하들)이 아니라, 다소 주목받지 못했던 주변 인물들(최치원을 지지하고 도와주는 조력자들)을 본격적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따라서 첫 번째는 최치원의 어머니와 부인을 차례대로 살폈다. 그녀들은 최치원의 능력을 온전히 인정하지 않는 아버지와 (미래) 장인어른에 맞서서 주인공 최치원을 비호(庇護)하는 인물이기 때문이다. 두 번째는 최치원이 신라에서 중원으로 넘어갈 때와 이후 중원에서 신라로 돌아올 때 매번 죽을 위기에서 도움을 주는 신성한 존재들(조력자들)에 대해 살폈다. 현재 권력을 가지고 힘을 가진 자들도 최치원의 능력을 알지만 시기하고 폄하, 모함하는 데 비해, 권력을 뛰어넘는 천상의 존재들은 최치원을 보호하고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연구의 결과는 이처럼 최치원 주변 인물들의 적극적인 대비를 통해 ‘중세적 사고의 비판’이라는 작품의 주제 의식을 더 강화했음을 밝힌 것이다. 또한 이러한 인물 형상화를 통해 작가는 세 가지 효과를 의식했음을 논증하였다. 첫 번째는 이런 주변 인물을 통해 작가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조금 더 적극적으로 할 수 있고, 두 번째는 작가의 신변 보호뿐만 아니라 실존 인물과 그와 관계된 인물을 보호할 수 있으며, 세 번째는 시대적으로 다소 파격적이고 무리일 수 있으나 그래서 오히려 더 신비하고 소설적인 낭만을 추구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목차
1. 서론
2. 최치원을 비호하는 진취적, 실리적 여성 인물
1) 최치원의 어머니-위기의 순간 실질적 대응책 마련
2) 최치원의 부인-숨겨진 능력을 알아보는 혜안으로 가정과 국가 위기 해결
3. 최치원의 비범함을 부각하는 신성한 조력자들
1) 용왕 아들-수신(水神)을 다스리는 자라는 인식 부각
2) 할미, 노인, 처녀-신성한 존재의 도움을 받아 죽지 않는 인물이라는 것 부각
4. 전략적 인물 형상화를 통한 주제 의식 강화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