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term “unofficial history book” is used as a relative term and a concept in official history books, recognized as a subconcept of History compiled by the State. However, there were cases in which the ability to testify, which is the core of history books, was undeniable, unlike History compiled by the State. The function of unofficial history books as a supplement to political affairs was examined. The “Samguksagi” was an important official history book for understanding and restoring ancient Korean History. However, “Samguksagi” produced errors in its ability to prove. This study did not go any deeper because its aim was not to find the mistakes in “Samguksagi.” However, we must escape from vague trust in official history book universalism. Official History is represented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 chronological historical book compiled by the State. However, the Annals were also compiled by the ruling power. It showed that it was not free before power. The contents of the strictly controlled annals had leaked. Errors in History could be confirmed by comparing them to other national documents or historical books written by individuals. Books published by the State were assigned considerable authority. However, in the Yi Chung-moo Gong-jeonsue, which was transcribed and written in Nanjung Ilgi, the arbitrary deletion of content was severe. In some case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original form of modulation. This is an example of the transformation of personal records into national records. Therefore, this reminds us that the value of individual history books has more meaning than supplementing official history books.
한국어
야사는 정사의 상대적인 용어이자 개념으로 사용되어 왔다. 국가에서 편찬한 정 사의 하위 개념으로 인식하고는 했다. 그러나 국가의 통제 속에 편찬된 정사와는 달리 史書의 핵심인 증거 능력에 있어서는 부인할 수 없는 가치를 지닌 경우가 있 었다. 야사는 정사의 보완재 역할을 하는 史書로서의 기능을 살폈다. 한국의 고대사를 이해하고 복원하는 데 빼놓을 수 없는 정사가 삼국사기였다. 그러나 삼국사기는 증거력에 있어서 오류를 量産하였다. 삼국사기의 오류를 摘示하는 게 본고의 목적이 아니었기에 이 사안은 더 이상 깊이 들어가지 않았다. 다만 정사 만능주의라는 막연한 신뢰에서는 벗어나야 한다는 것이다. 조선시대사를 담고 있는 정사의 표상이 實錄이었다. 그러나 실록 역시 집권 세 력에 따라 새로운 실록이 편찬되었다. 권력 앞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는 사실을 보 여주었다. 또 엄밀하게 통제된 실록의 내용이 유출된 사실도 포착되었다. 다른 여 타 국가 문서나 야사와의 비교를 통해서 실록의 오류를 확인할 수 있었다. 국가 권력이 발간한 官撰은 상당한 권위를 부여받았다. 그렇지만 난중일기를 轉載한 이충무공전서에서는 자의적인 내용 삭제가 극심하게 자행되었다. 경우에 따라서는 원형의 변조를 말할 수 있을 정도였다. 私記錄이 國家記錄化함으로써 어 떻게 변형되고 있는 지를 알려주는 사례가 된다. 따라서 야사의 가치는 정사의 보 완재 이상의 의미를 지녔음을 일깨워준다.
목차
Ⅱ. 정사 만능주의에 대한 경종
1. 야사와 정사의 관계
2. 진흥왕대 신라의 북계와 순수비
3. 정사의 한계와 보완재로서 야사
Ⅲ. 실록과 야사의 충돌
1. 실록의 증거력과 閱覽 문제
2. 정여립과 김덕령․김천일 관련 기록
Ⅳ. 맺음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