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祝詞(のりと)․宣命(せんみょう)의 助詞 『ニ(爾/仁)』

원문정보

『Ni(Er/Ren)』, Postposition of Greetings․Royal Commands

이지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Greetings』․『Royal Commands』, recorded by the 『Book of Royal Commands』, demonstrated that 『Er/Ren』, a pseudonym, has been used extensively for results, conditions, addition, origin, passiveness, and employment according to time, place, repetition, emphasis, goal, object, or movement. Transcribing borrowed Chinese letters usually involves steps from big to small handwriting, omission to non-omission, and substantive to expletive. 『Er/Ren』 has been used in transcription on several occasions. The pseudonym had been used as substantive (noun/adjective/verb) or expletive (auxiliary verb/postposition) in Japanese Tensonkorin books such as ꠓManyoshuꠗ and 『Giki』 was eventually written as tone pseudonym of small handwriting for 『ニ』, a postposition and expletive in the 『Book of Royal Commands』. 『Er(Ni)』, a pseudonym, has been used for transcribing proper nouns, such as the names of persons or government posts in Tuiguchaoyiwen, published before ꠓManyoshuꠗ and 『Giki』, but 『Ren(Ni)』, a pseudonym, has not. 『Er』 was shown in 『Yusaga』, while 『Ren』 in 『Gyunyeoga』 on Shilla’s 『Hyangga』, which became a similar system of Chinese letters in the same period. 『Er』 was absolutely dominant over 『Ren』 for transcription of 『Ni』 from 『Tuiguchaoyiwen』, 『Hyangga』, ꠓManyoshuꠗ and 『Giki』 to 『Book of Royal Commands』, whereas 『Ren』 was never found in 『Tuiguchaoyiwen』, 『Book of Royal Commands』 or 『Yusaga』, suggesting that 『Er』 had been settled in the early period, while 『Ren』 in the late.

한국어

『宣命書(せんみょうがき)』로 기록된 『祝詞(のりと)』 『宣命(せんみょう)』에서 假 名 『爾/仁』는 助詞 『ニ』의 時間․場所, 反復․强調, 目標․目的, 動作의 結果, 狀態, 添加, 根源, 受身․使役 등의 다양한 용법으로 사용되었다. 漢字借用表記는 일반적 으로 大書體에서 小書體로, 略體에서 非略體로, 實辭에서 虛辭의 표기 단계로 발달 되는데 假名『爾/仁』의 경우도 『萬葉集』 『記紀』 등의 일본 上代文獻에서 實辭(名詞/ 形容詞/動詞)와 虛辭(助動詞/助詞)의 다양한 표기에 用字되는 과정을 거쳐서 종국 에는 『宣命書(せんみょうがき)』에서 虛辭인 助詞 『ニ』의 小書 音假名표기로 안착 하게 된다. 『萬葉集』 『記紀』보다 이른 시기의 문헌인 『推古朝遺文』에서 假名 『爾 (ニ)』는 人名, 官職名 등의 固有名詞表記에 용례를 보이며 假名 『仁(ニ)』는 용례를 보이지 않는다. 또한 동시대 유사한 한자표기체계인 한반도의 『鄕歌』에서는 假名 『爾』가 『遺事歌』에, 假名 『仁』가 『均如歌』에 用字되었다. 假名 『爾』가 『推古朝遺文』 과 『鄕歌』 『萬葉集』 『記紀』 『宣命』에 이르기까지 『ニ』의 표기에서 절대적인 우위 를 보이는 것에 비해서 假名 『仁』의 경우 『推古朝遺文』과 『原物宣命』 『遺事歌』 등 에서 용례를 보이지 않는 점 등을 고려할 때 假名 『爾』가 이른시기에 정착하여 표 기에 반영된 것에 비해서 假名 『仁』은 후대에 수입된 假名로 推定된다.

목차

Ⅰ. 머리말
Ⅱ. 『祝詞(のりと)․宣命(せんみょう)』의 助詞 『ニ(爾/仁)』
Ⅲ. 上代文獻의 假名 『ニ(爾/仁)』
1. 『萬葉集』 『古事記』 『日本書紀』의 假名 『ニ(爾/仁)』
2. 『推古朝遺文」과 『鄕歌』의 假名 『ニ(爾/仁)』
Ⅳ. 假名 『爾』와 假名 『仁』
Ⅴ.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지수 Lee Ji-soo. 한국외국어대학교 융합일본지역학부 특임강의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