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제주 항파두리 항몽 유적 출토 청동제 취사용구의 제작기술 연구

원문정보

Analysis on the Ancient Bronze Cooking Outils Excavated from Historic Site of Anti-Mongolian Struggle in Hangpaduri, Jeju

이재성, 유하림, 김현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microstructure of ancient bronze cooking outil excavated in historic site of anti-Mongolian struggle in Hangpaduri was analyzed to confirm various manufacturing techniques. Bronze spoon and bronze ladles were made by alloying only copper and tin, and the alloy ratio included approximately 22% tin in the copper composition of the forged high tin bronze.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forged high tin bronze technology, which commonly involves high-temperature forging and final finishing with quenching, was performed. In addition, the sulfide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hows that the copper material supplied to the metal may be copper ore containing sulfur such as chalcopyrite and chalcocite. The three bronzewares were made using a binary alloy of copper-tin and a ternary alloy of copper-tin-lead, respectively. Manufacturing techniques using a binary alloy of copper-tin are divided into a forged high tin bronze technique using a hammering and quenching process and a manufacturing technique system of quenching after casting into a shape. Bronze bowl made using a ternary alloy of copper-tin-lead contain 11 wt% tin and 9 wt% lead in the main metal of copper. The lead contained in large quantities is formed in an uneven size within the microstructure, and shows the characteristic of sulfide being distributed around the lead. In addition, there are no traces of additional processing or heat treatment such as quenching.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work process was completed by casting the shape. The results of the microstructure analysis show various manufacturing technology systems applied to the bronze cooking outils from historic site of anti-Mongolian struggle in Hangpaduri, Jeju. In particular, through comparison with bronze artifacts utensils excavated from other regions of the Sambyeolcho’s historic site, the possibility of bronze being introduced due to the migration of the Sambyeolcho was confirmed.

한국어

제주 항파두리 항몽 유적에서 출토된 청동제 취사용구의 미세조직을 분석하여 다양한 제작기술을 확인하였다. 청동숟가락과 청동국자는 구리와 주석만을 합금하여 제작하였으며, 합금 비율은 방짜조성인 구리에 약 22%의 주석을 포함하였다. 공통적으로 고온에서 단조하고, 최종적으로 담금질로 마무리하는 방짜기술의 제작공정이 이루어졌다. 또한 길이 방향으로 길 게 연신된 황화물은 유물에 공급된 구리 소재가 황동광, 휘동광 등 황을 포함하는 구리광석일 가능성을 보여준다. 청동용기류 3점은 구리-주석의 2원계 합금과 구리-주석-납의 3원계 합금으 로 각각 제작되었다. 구리-주석 2원계 합금을 이용한 제작기술은 열간단조와 담금질 공정을 거치는 방짜기술과 형태 주조 후 담금질하는 제작기술 체계로 나뉜다. 구리-주석-납의 3원계 합금으로 제작한 청동그릇은 주요 금속인 구리에 11 wt%의 주석과 9 wt% 납을 포함하고 있다. 다량 포함된 납은 미세조직 내에 불균일 크기로 형성되어 있으며, 납 주변에 황화물이 분포하 는 특징을 보인다. 또한 추가의 가공이나 담금질 등 열처리 흔적은 없어 형태 주조만으로 작업 공정이 마무리되었음을 알 수 있다. 미세조직 분석 결과는 제주 항파두리 항몽유적의 취사용구 에 적용된 다양한 제작기술 체계를 보여준다. 특히 다른 지역의 삼별초 항몽유적 출토 청동제 생활용구와 비교를 통해 삼별초의 이동에 따른 청동제 취사용구의 유입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목차

초 록
ABSTRACT
1. 서 론
2. 연구 대상 및 분석 방법
2.1. 연구 대상
2.2. 분석 방법
3. 연구 결과
3.1. 미세조직 분석 결과
3.2. 가공에 따른 형태 변화
4. 고 찰
5. 결 론
사 사
REFERENCES

저자정보

  • 이재성 Jae Sung Lee. 국립문화유산연구원 문화유산보존과학센터
  • 유하림 Ha Rim You. 국립문화유산연구원 문화유산보존과학센터
  • 김현우 Hyun Woo Kim. (주)한결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