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靑年」(1921-1940)에 나타난 성경적 평화담론과 기독교윤리적 함의

원문정보

Discourses of Biblical Peace in YMCA’s Journal “The Young Man”(1921-1940) and Christian Ethical Implications

이장형, 안수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nalyze, and interpret such sub-topics as ‘mind and attitudinal reformation for realization of world peace’ and ‘practical expansion for realization of world peace’ under the title of discourses of biblical peace discussed in the journal “The Young Man”(1921-1940) published by YMCA, in order to explore their contemporary implications from a Christian ethical perspective. First, with regards to mind and attitudinal reformation for realization of world peace, Pilsoo Kim explored the theme of overcoming greed as a precondition for peace in the article titled “Reasons for Tubercular Propensity for War”(1923). Changje Kim addressed the issue of altruism as a precondition for peace of mind in the essay titled “At the Peace Memorial Day”(1929). Jeho Park took up awakening of human dignity in the article titled “Trend of Postwar Thought and It’s Underlying Spirit”(1922), while Woonryong examined absolute incompatible relationship between war and a Christian faith in his paper “A Christian Attitude toward War”(1924). Second, when it comes to ‘practical expansion for realization of world peace’, Chijin Han argued the realization of cosmopolitanism’s goals in pursuit of international peace in the essay titled “A Reflection on World Peace”(1930). Youngsub Kim tried to deal with achievement of international peace through coexistence and co-prosperity in his article titled “Can We Preserve World Peace?”(1931). Geonchoon Lee promoted the abolition of vertical hierarchy and social engagement in the essay titled “The Reshaping of the World and Roles of Religion”(1923). Their arguments collectively pursued thoroughly outward, ‘here-and-now’ oriented, practical and pragmatic values. Third, it is very meaningful that “The Young Man” examined a biblical understanding of peac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connection with two streams of philosophical ethical traditions, namely, deontological and teleological ethics. The sufficient discussion on the concept of peace found in “The Young Man” maintained the balance between discourses on practical expansion of reformation and its inner motivations. Fourth, individual ethics and social ethics are often deemed to be either a dilemma or complementary to each other in the Christian ethical tradition.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Young Man” attempted to deal with both individual ethics and social in a balanced way, when it comes to a realization of world peace as one of the Christian ethical virtues. Fifth, even in the midst of suffering and ordeal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Korean churches made various efforts to continue discourses on world peace. It should be highly evaluated that their continuous discourses on peace were all-out efforts to carry out their Christian responsibility and obligations even under the Japanese oppression.

한국어

본고에서는 기독교청년회 기관지 “「靑年」(1921-1940)에 나타난 성경적 평화담론 과 기독교윤리적 함의”라는 제하에 ‘세계 평화 실현을 위한 마음 내면의 개혁’과 ‘세 계 평화 실현을 위한 개혁의 실천적 외연(外延)’으로 하위주제들을 편성하여 분석했으 며 기독교윤리적 관점에서 현재적 함의와 해석을 기했다. 첫째, 세계 평화 실현을 위 한 마음 내면의 개혁에 관한 견해들로서 김필수는 “결핵적(結核的) 전쟁성(戰爭性)의 원인”(1923)에서 평화의 선행조건으로 탐욕 극복을, 김창제는 “평화기념일을 제(際)하 여”(1929)에서 평안의 전제요건으로 이기심 극복과 애타주의 실천을, 박제호는 “전후 (戰後) 사상의 추세와 그 근저적(根抵的) 정신”(1922)에서 인간 존엄성 각성을, 운룡은 “전쟁에 대한 기독교도(基督敎徒)의 태도”(1924)에서 절대적 상치관계(相馳關係)로서 의 기독교신앙과 전쟁을 논했다. 둘째, 세계 평화 실현을 위한 개혁의 실천적 외연에 관한 견해들로서 한치진은 “세계 평화에 대한 일(一) 고찰”(1930)에서 평안을 추구할 ‘세계형제주의’ 실현을, 김영섭은 “진정한 평화를 보존할 수 있을까”(1931)에서 공존공 영(共存共榮)을 통한 평화 구현을, 이건춘은 “세계 개조와 종교의 직분”(1923)에서 수 직적 상하계급 타파와 사회참여를 고취했다. 이들의 논지는 철저하게 외향적이며, ‘지 금 그리고 여기에서’의 실용적인, 그리고 실천적인 가치를 지향한다. 셋째, 「靑年」에 나타난 일제강점기의 성경적 평화관은 철학적 윤리의 전통적 두 조류인 의무론적 윤 리와 목적론적 윤리가 함께 논의되었다는 점에서 큰 가치가 있다. 또한 「靑年」에 나타난 평화관은 개혁의 실천적 외연에 관한 담론과 내면적 동기에 관한 담론이 충분 하게 논의되어 상호 균형을 이룬다. 넷째, 기독교윤리학 전통에서 개인윤리와 사회윤 리는 딜레마로 여기거나, 혹은 보완적인 관계로 설명될 수 있는 의미 있는 주제들이 다. 기독교윤리 덕목들 중의 하나인 세계 평화를 구현할 과제에 대해서도 「靑年」에 서는 개인윤리와 사회윤리를 균형 있게 포괄하여 다루었다. 다섯째, 일제강점기라는 시대적 고통과 질곡을 경험하면서도 당시 한국기독교는 평화담론을 모색하기 위해 각 고의 노력을 경주했다. 피압박 상황 중에서도 평화담론을 논했던 것은 기독교의 시대 적 책무를 반영하기 위한 최선의 노력이었으며 이 점을 높게 평가해야 한다.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세계 평화 실현을 위한 마음 내면의 개혁
1. 평안의 선행조건으로서의 탐욕 극복
2. 평안의 선행조건으로서의 이기심 극복과 애타주의
3. 인간의 존엄성 각성
4. 상치관계(相馳關係)로서의 기독교신앙과 전쟁
III. 세계 평화 실현을 위한 개혁의 실천적 외연(外延)
1. 평안을 추구하기 위한 ‘세계형제주의’ 실현
2. ‘공존공영’(共存共榮)을 통한 평화 구현
3. 수직적 상하계급 타파와 사회참여
Ⅳ. 나가는 말: 기독교윤리적 함의
■참고문헌 ■
■Abstract ■

저자정보

  • 이장형 Lee Jang-Hyung. 백석대학교 교수, 실천신학, 기독교윤리
  • 안수강 Ahn Su-Kang. 백석대학교 외래교수, 실천신학, 기독교교육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