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토마스 머튼의 관상적 삶의 태도와 윌프레드 비온의 ‘기억도 욕망도 없는 상태’에 관한 비교연구

원문정보

A Comparative Study of Thomas Merton's Contemplative Attitude and Wilfred Bion's ‘state of being without memory or desire’

김남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growing movement to integrate psychology and spirituality in psychotherapy. Following this trend, modern psychoanalysis emphasizes intersubjectivity and has come to pay attention to the infinity and mystery of the human mind beyond the unconscious. This is because conventional Freud's scientific and rational approach alone cannot fully capture the counselee's existence. Wilfred Bion supplemented the blind spots of psychoanalysis by redefining the existing ‘psychoanalysis as a mystical science’. It was an unconventional attempt to encompass both scientific and mystical attitudes. Through these attempts, modern psychoanalysis has come a step closer to Christian spirituality. Wilfred Bion's theories, which are at the pinnacle of modern psychoanalysis, have many connections to Christian spirituality. In particular, Thomas Merton's contemplative life practice is connected to the clinical attitude of the analyst that Bion emphasizes. In this paper, I will focus on Merton's concepts of ‘solitude’ and ‘silence’ in contemplation, and explore their connection to Wilfred Bion's emphasis on the analyst's ‘state of being without memory or desire’ and ‘rêverie’. As Merton emphasizes, ‘Solitude’ and ‘silence’ are not withdrawal from the world. Rather, it is a aspiration to courageously face one's dark side and become one with God. Just as a prayer can create inner space by completely letting go of his or her desires, an analyst can create space to accept a client by suppressing his or her own ‘memories and desires’ as much as possible. Bion believed that he could only understand his counselees when he had suppressed his own memories and desires as much as possible. Bion explains the concept of ‘rêverie’ as a state in which a mother is passionately preoccupied with her infant in state of being without memory or desire. That is, like infants, clients desperately want to be able to make conscious and transform their unaware emotional experiences within the analyst's the containing environment of rêverie. To participate in this active communication, Analyst must be able to persevere the dark night of uncertainty arising from their counselee through their own ‘rêverie’. The counselee, through this process, ultimately internalizes a new mental function known as the a-function from the analyst. Through this, the counselee can think and dream about himself and others, and they can stand alone in the world. The prayer must be able to shed their false self and endure failure and frustration in order to have a true encounter with God. In clinical practice, analysts must also make the same effort for their counselee. This contemplative life practice can contribute positively to refining the analyst's capability and creating sufficient psychological space.

한국어

최근 들어 심리치료를 위해, 심리학과 영성을 통합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 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현대의 정신분석은 상호주관성을 강조하며, 무의식을 넘어 인 간 내면의 무한성과 신비성까지도 주목하게 되었다. 기존의 프로이트의 과학적이고 이성적인 접근만으로는 온전히 내담자의 존재를 담아내기 어렵기 때문이다. 윌프레드 비온은 기존의 정신분석을 ‘신비적 과학으로서의 정신분석’으로 재정의하며 정신분석 의 맹점을 보완했다. 이는 과학적 태도와 신비주적 태도를 동시에 포괄하려는 파격적 인 시도였다. 이러한 시도를 통해 현대의 정신분석은 기독교 영성에 한 걸음 더 다가 갈 수 있게 되었다. 현대 정신분석의 정점에 있는 윌프레드 비온의 이론은 기독교 영 성과도 많은 연결점이 있다. 특히 토머스 머튼이 제시한 관상적 삶의 실천 과정은, 비 온이 강조하는 분석가의 임상 태도와 연결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머튼이 관상에서 강조하는 ‘고독’과 ‘침묵’의 개념을 중심으로, 윌프레드 비온이 강조한 분석가의 ‘기억 도 욕망도 없는 상태’와 ‘레브리’가 어떠한 연결점이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머튼 이 강조한 것처럼 고독과 침묵은 세상을 향한 철수가 아니다. 이는 오히려 자신의 어두운 면을 용기 있게 마주하고 하나님과 일치하려는 열망이다. 기도자가 온전히 자신 의 욕망을 내려놓음으로써 내적 공간을 마련할 수 있는 것처럼, 분석가 또한 자신의 ‘기억과 욕망’을 최대한 억제함으로써 내담자를 수용할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비온은 자신의 기억과 욕망을 최대한 억제한 상태에 이르러야 내담자를 이해할 수 있다고 보 았다. 비온은 어머니가 ‘기억도 욕망도 없는 상태’에서 유아에게 열정적으로 몰입하는 상태를 ‘레브리’ 개념으로 설명한다. 즉, 내담자는 유아와 마찬가지로 자신이 알지 못 하는 정서적 경험들을, 분석가의 레브리라는 담아주는 환경 안에서 의식화하고 변형 시킬 수 있기를 간절히 원한다. 이러한 적극적인 의사소통에 참여하기 위해서, 분석가 는 내담자로부터 비롯된 불확실성이라는 어두운 밤을 자신의 ‘레브리’를 통해 인내할 수 있어야만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비로소 내담자는 분석가로부터 새로운 정신기 능인 알파-기능을 내재화한다. 이를 통해 내담자는 자신과 대상에 대해 사고하고 꿈 을 꿀 수 있게 되며, 홀로 세상에서 일어설 수 있게 된다. 기도자는 하나님과의 참 만 남을 위해 자신의 거짓 자아를 벗어던지고 실패와 좌절을 견뎌낼 수 있어야 한다. 임 상에서 분석가 또한 내담자를 위해 같은 노력을 해야 한다. 관상적 삶의 실천은 분석 가의 능력을 정교화하고, 넉넉한 심리내적 공간을 마련하는 데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머튼의 관상 개념
1. 머튼의 관상 이해
2. 관상적 침묵과 관상적 죽음
3. 관상적 홀로 있음과 관상적 고독
III. 비온의 ‘기억도 욕망도 없는 상태’ 개념
1. 신비적 과학으로서의 정신분석
2. 기억도 욕망도 없는 상태
3. 분석가의 레브리 능력
4. 불확실성, 좌절에 대한 인내
5. 담아주기와 알파기능의 내재화
Ⅳ. 토마스 머튼의 관상적 삶의 정신분석적 실천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 ■
■Abstract ■

저자정보

  • 김남훈 Kim Nam-Hoon. 아주대학교, 실천신학, 의료인문정신분석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