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Comparative Study of the KSL Curriculum and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 Focusing on Content Organization and Achievement Standards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KSL curriculum and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to recommend ways to improve the KSL curriculum. For this purpose, the two curricula were divided into organizational system, nature and goals, content system, and achievement standard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of the two curricula was the same,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ntent structure and achievement standards. Unlike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which has five categories of content, the KSL curriculum has only two. In terms of achievement standards, the KSL curriculum is centered on mastery, unlike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which is centered on grades cluster. Due to the mastery-oriented achievement standards, the KSL curriculum did not deepen the content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by school level such as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In order for KSL learners to adapt to the curriculum, it was suggested that different achievement standards be organized according to school level (or grades cluster) and that the content of achievement standards linked to the curriculum be strengthened. It was also suggested that a 'affective domain' be added to the performance standards to address the emotional aspects of KSL learners' adaptation and lear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as suggestions for improving KSL curriculum in the future.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KSL) 교육과정과 국어과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고, 이것을 기반으로 한국어 교육과정의 개선 방안을 제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두 교육과정을 구성 체계, 성격 및 목표, 내용 체계, 성취 기준으로 나누어 살펴보았 다. 분석 결과, 두 교육과정의 구성 체계는 같지만 내용 체계와 성취 기준에서는 큰 차이를 보였다. 교과 내용의 범주로 다섯 가지를 두고 있는 국어과와 달리 한국 어 교육과정은 두 가지만 두었다. 성취 기준에서도 학년군 중심의 국어과와 달리 한국어 교육과정은 숙달도를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교육과 정이 숙달도 중심의 성취 기준으로 인해 학교급별로 계열성이 없음을 비판하고, 한국어 학습자의 교과 적응을 위해서는 학교급별(또는 학년군별)로 다른 성취 기 준을 구성하고, 교과와 연계된 성취 기준을 강화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 한국어 학습자의 정서적 측면에서의 적응과 학습을 위해서 성취 기준 내용에 ‘정의적 영 역’을 추가할 것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목차
Ⅱ. 한국어(KSL)5) 교육 정책 및 교육과정 연구 양상
1. 한국어(KSL) 교육 정책과 교육과정 개발 연구
2. 한국어(KSL) 교육과정 연구 양상
Ⅲ. 국어과 교육과정과 한국어(KSL) 교육과정 비교
1. 성격 및 목표
2. 내용 체계
3. 성취 기준
Ⅳ. 한국어(KSL) 교육과정의 개선 방안
Ⅴ. 결론
References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