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n Empirical Study on Improving Global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the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ions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초록
영어
The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ions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are very important national organizations for South Korea’s future growth. Despite this importance, research in the field of human resources and organization related to the improvement of the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ions is very limited.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job characteristic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resilienc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showed that among the five job characteristic factors, skill variety, task significance, autonomy, and feedback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addi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resilienc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resilienc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urthermore, the indirect effect of resilience was confirmed through bootstrapping, indicating that resilienc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comprehensively manage the requirements of organizational members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stress, and job characteristics and establish a systematic organizational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from a long-term perspective.
한국어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은 한국의 미래 성장을 위해 매우 중요한 국가조직이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출연연의 글로벌 조직성과 향상에 관한 인사․조직 분야의 연구는 매우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출연연 조직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직무특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조직몰입이 회복탄력성,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 의 매개효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직무특성 요인 5가지 중 기술다양성, 직무중요성, 자율성, 피드백이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조직몰입은 회복탄력성과 조직시민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회복탄력성은 조직시민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또한 부트스트래핑 분석을 통해 회복탄력성의 간접효과가 확인되어 회복탄력성이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출연연은 조직구성원들의 조직몰입과 회복탄력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개인의 특성과 스트레스, 직무특성에 대한 조직구성원들의 요구사항을 종합적으로 관리하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체계적인 글로벌 조직성과 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목차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설정
2.1 직무특성과 조직몰입
2.2 조직몰입과 회복탄력성
2.3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
2.4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Ⅲ. 연구모형 및 연구방법
3.1 연구모형
3.2 변수 및 측정도구
3.3 자료수집
3.4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 결과
4.1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4.2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4.3 연구가설 검정
Ⅴ. 결 론
참 고 문 헌
국문 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