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a correlational research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nfertility-related quality of life of infertile women. The participants included 131 infertile women who visited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of a general hospital in C city for infertility treatment.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between May 11 and July 31, 2020.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Sché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imultaneous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18.0 program. The degree of infertility-related quality of life was 3.73±0.65. Infertility-related quality of life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marital intimacy (r=.37, p<.001), spousal support (r=.38, p<.001), social support (r=.43, p<.001), infertility stress (r=-.74, p<.001) and depression(r=-.54, p<.001).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infertility stress (β=-.58, p<.001), depression (β=-.28, p<.001), and social support (β=.16, p=.011)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infertility-related quality of life in infertile women, These variables explained 64.0% of the infertility-related quality of life in infertile women. The main variables affecting infertility-related quality of life were found to be infertility stress,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Therefore, to improve the infertility-related quality of life of infertile women, hospitals should develop an intervention program that can reduce fertility stress and depression and improve social support. Studies should also be conducted to confirm these effects. Depression
한국어
본 연구는 난임 여성의 난임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상관성 조사연구로 C시에 소재한 일개 종합병원 산부인과에 난임 치료를 목적으로 내원한 난임 여성 131명을 대상으로 2020년 5월 11일에서 7월 31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일반적 특성, 난임 관련 특성, 부부친밀감, 배우자지지, 사회적지지, 난임 스트레스, 우울 및 난임 관련 삶의 질 자료를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및 simultaneous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난임 관련 삶의 질은 부부친밀감(r=.37, p<.001), 배우자지지 (r=.38, p<.001), 사회적지지(r=.43, p<.001), 난임 스트레스 (r=-.74, p<.001) 및 우울(r=-.54, p<.001)과는 상관관계가 있었고, 난임 스트레스 (β=-.58, p<.001), 우울(β=-.28, p<.001), 사회적지지(β=.16, p=.011)는 난임 관련 삶의 질을 64.0% 설명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난임 여성의 난임 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난임 스트레스 및 우울을 감소시키고 사회적지지를 증진시킬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 설계
2.2 연구 대상
2.3 연구 도구
2.4 자료수집
3. 결과
3.1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난임 관련 삶의 질 차이
3.2 부부친밀감, 배우자지지, 사회적지지, 난임 스트레스, 우울 및 난임 관련 삶의 질 정도
3.3 부부친밀감, 배우자지지, 사회적지지, 난임 스트레스, 우울 및 난임 관련 삶의 질 간의 상관관계
3.4 난임 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5.1 결론
5.2 제언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