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ガ격 대상어 구문의 격조사 교체 - 주어와 대상어 중 한쪽의 격조사 교체가 일어나는 경우 -

원문정보

Types of Case Alternation in the Japanese ‘Ga’ Case Object Construction : The Types where Alternation Occurs on either the Subject or Object

한정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focuses on the types of case alternation in ‘Ga’ case object constructions and examines the types where only one of the subject or object case markers is replaced. To investigate this, we presuppose that ‘Ga’ case object constructions are unaccusative constructions and explain case alternation in relation to the subject's controllability over the matter expressed by the predicate. While the subject is fundamentally not an agent who can control the matter expressed by the predicate in ‘Ga’ case object constructions, the ‘Ni’ case subject demonstrates an even stronger [– controllability] compared to the ‘Ga’ case subject. In contrast, even in ‘Ga’ case object constructions, if the subject is considered to have some degree of [+controllability], it can take an ‘O’ case object. Predicates where only the subject is replaced with the ‘Ni’ case typically express matters such as existence/absence, possibility/difficulty, necessity/importance, and emotion. For these predicates, the subject’s controllability is not recognized, and the subject is regarded as having a more passive semantic role. Predicates where only the object is replaced with the ‘O’ case mainly express emotions such as preference, hope, or desire. This suggests that these emotions are perceived as more controllable compared to other emotions.

한국어

본고에서는 대상을 나타내는 명사구가 ガ격을 취하는 구문의 격조사 교체 양상에 주목하 여, 주어와 대상어 중 한쪽의 격조사 교체만이 일어나는 경우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위 해 본고에서는 ガ격 대상어 구문을 비대격 술어 구문으로 전제하고, 격조사의 교체 양상을 서술어가 나타내는 사항에 대한 주어의 통제성과 관련하여 고찰하였다. ガ격 대상어 구문의 주어는 기본적으로 서술어가 나타내는 사항을 통제할 수 있는 동작주 가 아니라는 점에서는 공통되지만, 존재문을 구성하는 ニ격 주어는 ガ격 주어보다도 한층 더 강한 [-통제성]을 나타낸다. 반면에 ガ격 대상어 구문에 있어서도 주어가 어느 정도의 통제 성을 가진다고 간주되는 경우에는 ヲ격 대상어를 취할 수 있다. 주어의 ニ격으로의 교체만을 보이는 서술어들은 주로 三上(1970)의 존재문을 구성하는 서 술어들로, 이들 서술어가 나타내는 ‘유무・다소’, ‘가능・난이’, ‘필요・중요’, ‘감정’ 등의 사항에 대해서는 주어의 통제성이 인정되는 경우가 없으며, 주어는 특히 더욱 소극적인 의미 역할을 가지는 것으로 간주된다고 볼 수 있다. 대상어의 ヲ격으로의 교체만이 나타나는 서술어는 ‘~たい’, ‘好き’, ‘嫌い’, ‘ほしい’로, 이들 서술어가 나타내는 ‘호오’나 ‘희망’ 또는 ‘욕구’는 ‘감정’에 포함되지만 감정을 나타내는 다른 서술어들과는 정반대의 격조사 교체 양상을 보인다. 이는 이러한 종류의 감정이 다른 감정들 에 비해 통제할 수 있는 사항으로 인식되는 경우가 있음을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목차

Abstract
1. 들어가며
2. 선행연구
3. ガ격 대상어 구문의 격조사와 통제성
4. 주어의 격조사 교체만이 가능한 비대격 술어
4.1. 가능・난이를 나타내는 비대격 술어
4.2. 유무・다소를 나타내는 비대격 술어
4.3. 감정을 나타내는 비대격 술어
4.4. 필요・중요를 나타내는 비대격 술어
5. 대상어의 격조사 교체만이 가능한 비대격 술어
5.1. ~たい
5.2. 好き・嫌い
5.3. ほしい
6. 나오며
<참고문헌>
<국문요지>

저자정보

  • 한정연 Han Joung–Youn.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아시아언어문명학부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