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1인가구의 범죄의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Fear of Crime in Single-Person Households

서미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plores the dual nature of the trend of rising single-person households, which signifies individual economic independence and social freedom while also presenting certain negative aspects. Notably, individuals in single-person households often experience a higher fear of crime compared to those in multi-person households. This increased fear can stem from a lack of security, insufficient social support, and challenges in responding to emergencies, ultimately undermining mental and emotional well-being and contributing to social instability. The research examined various social and economic factors among households in Seoul, focusing on members aged 15 and older. Findings indicate that women exhibit a higher fear of crime than men, and that individuals with higher education and lower income levels report greater fear. These results suggest important policy implications: the expansion of women’s safety programs, increased economic support, and broader safety education initiatives. Despite limitations such as reliance on secondary data and the absence of qualitative research, the study sheds light on how fear of crime differs by gender, education, and income, thereby assisting policymakers in creating more targeted safety policies. Emphasizing data-driven policy formulation underscores the necessity for special measures addressing vulnerable groups, particularly women.

한국어

1인 가구의 증가 현상은 개인의 경제적 자립과 사회적 자유를 상징하지만, 동시에 여러 부정적인 측면도 존재한다. 특히, 1인 가구는 범죄에 대한 두려움이 다인가구보다 높은 경 향이 있다. 이는 보안 취약성, 사회적 지지부족, 긴급 대응의 어려움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두려움은 정신적 및 정서적 안녕을 저해하고 사회적 불안정을 초래할 수 있 다. 본 연구는 서울시에 거주하는 가구와 만 15세 이상의 가구원을 대상으로 다양한 사회 적 및 경제적 요인을 분석했다. 조사에서 여성은 남성보다, 학력이 높고 소득이 낮을수록 범죄에 대한 두려움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여성 안전 프로그램 확대, 경제적 지원 강화, 안전 교육 프로그램 확충 등의 정책적 시사점을 제안한다. 또한, 2차 데이터의 사용과 질적 연구의 부재라는 연구 한계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범죄 두려움이 성별, 학력, 소득 수준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밝혀내어 정책 결정자들이 보다 세밀한 안전 정책을 설계하는 데 기여했다. 데이터 기반의 정책 수립을 통해 특히 여성과 같은 취약 그룹에 대한 특별한 대책이 필요함을 강조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자료의 수집 및 분석결과
Ⅳ.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서미정 Seo, Mijung. 한성대학교 미래플러스대학 융합행정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