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Risk Assessment of extreme Cold Waves in Energy Storage Facilities According to Climate Change
초록
영어
Purpose: The biggest concern in cold wave situations is that the fire extinguishing water initially supplied through dry pipes with empty pipes consumes enthalpy and freezes as it rapidly approaches the surface temperature of steel pipes that have been exposed to sub-zero outdoor air for a long time. It has no choice but to be. Method: Therefore, the study found that ice crystals were generated during transport, making it difficult to transport fire extinguishing water, and as a result of the review, when the heat load passed through the piping material, the heat loss per unit length from the piping to the surroundings was 0.946. Results: When calculating the volume of the main pipe, it was calculated that the fire extinguishing water supplied at a temperature of 15 degrees from the underground pipe would have a volume of 3.33㎥ to reach the first branch point. If we calculate the heat required until this volume reaches below zero, we get 316.350 kcal. When the results were reviewed using the related formula, the time required for the fire extinguishing water to completely freeze up to the first branch of the steel pipe was found to be 3,412 seconds. Conclusion: Fire-fighting water, which must reach from the main pipe to the branch pipe and nozzle in good condition, must minimize heat loss through the pipe surface along the transfer path. To achieve this,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insulation of the main pipe and branch pipes. In this study, the use of inorganic perlite material or flame-retardant rubber foam insulation was proposed through analysis of insulation properties.
한국어
연구목적: 한파 상황에서 가장 우려되는 것은 배관 내부가 빈 상태인 건식 배관을 통해 초기에 공급되는 소 화 용수가 엔탈피를 소모하게 되고 영하의 외기에 장시간 노출되어 있던 강관의 표면온도에 급속하게 가까 워지면서 결빙될 수밖에 없다. 연구방법: 따라서 연구는 이송 중에 얼음결정이 발생하고 그에 따라 소화 용 수의 이송이 어렵게 되고 검토 결과 배관재 통과 열부하 경우 배관에서 주위로의 단위 길이 당 열손실은 0.946 kcal/m 나타났다. 연구 결과: 주 배관의 용적을 구하면 지중 배관에서 영상 15도로 공급되는 소화 용 수가 첫 분기 지점까지 도달하는데 3.33㎥ 체적을 가지는 것으로 산정되었다. 이 체적이 영하에 도달할 때까 지 필요한 전열을 구하면 316.350 ㎉ 이 된다. 해당 결과를 관련 공식으로 연계 검토하면 강관의 첫 분기 지 점까지의 소화 용수가 완전히 결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3,412초로 나타났다. 결론: 주 배관에서 분기 배관 및 노즐까지 영상의 상태로 도달하여야 하는 소화 용수는 이송 경로상에서 배관표면을 통한 열손실을 최 소화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 주 배관 및 분기 배관까지 단열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단열특 성 분석을 통한 무기질의 퍼라이트(Perlite)재질 또는 난연성의 고무발포 보온재를 사용을 제안하였다.
목차
요약
서론
북극진동
적운열
한반도 한파현상 분석
에너지 저장시설 한파위험성 평가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