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the Installation of Chemical, Biological and Radiological Protection Facilities Using Existing Buildings
초록
영어
Purpose: This study predicted the flow of chemical, biological, and radiological materials in chemical, biological, and radiological defense facilities within the base during a chemical, biological, and radiological attack based on the conditions of the facility before the existing improvement, analyzed the flow of pollutants and the human impact of toxic substances, and identified the occurrence of leakage. Method: Assuming that the simple chemical, biological, and radiological defense facility improvement plan, which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ilding, has been improved to the facility standard, the flow of chemical, biological, and radiological materials in the chemical, biological, and radiological defense facility within the base was predicted in the event of a chemical, biological, and radiological attack under the same conditions, and the flow of contaminants and the impact on occupants by toxic substances were analyzed to determine spatial safety. Result: In the case of Plan 1, it was found that leakage occurred after approximately 250 seconds in spaces where existing flat-panel chemical, biological, and radiological defense facilities were not installed. In the cases of Plans 2 and 3, it was found that leakage occurred in spaces where existing flat-panel chemical, biological, and radiological defense facilities were not installed. Conclusion: n the case of plans 1, 2, and 3, it was found that airtightness was maintained because no leakage occurred in the improved plane. In the case of plan 4, airtightness was not maintained due to leakage in the space where the existing plane simple chemical, biological, and radiological protection facilities were not installed.
한국어
연구목적: 본 연구는 통풍형 간이 화생방 방호시설 표준 평면을 공간 대상으로 하여 기존 보완 전의 시설 조건을 기준으로 화생방 공격 시 기지 내의 화생방 방호시설의 화생방 물질 유동을 예측하고 오염물질 흐름 및 독성물질에 의한 인체 영향을 분석하고 누기 발생을 파악하였다. 연구방법: 건물의 특성을 반영 한 보완 공사가 이루어진 간이 화생방 방호시설 개선 평면 시설기준으로 개선되었을 때를 가정하여 동 일한 조건의 화생방 공격 시에 기지 내의 화생방 방호시설의 화생방 물질의 유동을 예측하고 오염물질 의 흐름 및 독성물질에 의한 재실자의 영향을 분석하며 공간 안전성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1안의 경 우 기존 평면 간이 화생방 방호시설 미설치 공간에서는 약 250초 이후에 누기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2안과 3안의 경우 기존평면 간이 화생방 방호시설 미설치 공간에서는 누기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결론: 1안 ,2안, 3안의 경우 개선된 평면에서는 누기 발생이 발생하지 않아 기밀성이 유지되는 것으 로 나타났다. 4안의 경우 기존평면 간이 화생방 방호시설 미설치 공간에서는 누기 발생으로 인한 기밀성 유지가 되지 않았다.
목차
요약
서론
간이 화생방 방호시설 설치 시 안전성 확보 방안
시뮬레이션 결과분석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