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Content Validity of Korean Clinical Observation (K-CO) for Assessing Sensory Integration Function
초록
영어
Objective :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content validity to develop a Korean Clinical Observation (K-CO) for assessing sensory integration function that can be efficiently used and quantified in the domestic clinical environment. Method : Delphi surveys were conducted three times expert groups. In the first, a panel of experts composed of professors and clinicians collected various opinions on the content of K-CO and the research. In the second, items of K-CO were extracted based on the first Delphi survey. reflect the domestic clinical environment, a survey (three-point scale) was conducted on the items of K-CO extracted from the expert panel. In the third, the final question was selected based on the CVR of 0.8 points by conducting another expert panel survey (a three-point scale) for items that received a Construct Validity Ratio (CVR) score of 0.6 or less in the Delphi survey. The and survey data were analyzed using Excel a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validity (consensus, convergence, CVR), and stability. Results : A total of 33 items of K-CO were extracted. The average score of the item was 2.8 to 3. The items were dominance-hand, dominance-foot, postrotatory nystagmus, smooth pursuit movement, movement of eyes across midline, covergence and divergence, saccadic eye movement, Vestibular-Ocular Reflex (VOR), cocontraction-head, cocontraction-upper limb, Prone Extension Posture (PEP), Supine Flexion Posture (SFP), Asymmetrical Tonic Neck Reflex (ATNR), Symmetrical Tonic Neck Reflex (STNR), righting reaction, equilibrium reaction, protective extension reaction, standing on one leg-eyes open and eyes closed, finger identification, localization, finger-nose touch, kinesthesia, jump-two foot. jump-one foot, jumping jacks, skipping, galloping, alternation forearms movement, sequential finger touching, slow motion, praxis-verbal cue, praxis-oral, praxis-sequence. Conclusion : This study will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standardized K-CO for the clinical environment in South Korea.
한국어
목적 : 본 연구는 국내 임상환경에서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정량화할 수 있는 한국형 감각통합임상관찰도 구를 개발하기 위해 내용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자들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문헌고찰을 하였고, 전문가 패널을 대상으로 3차례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1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교수와 임상가로 구성한 전문가 패널을 대상으로 한국형 감각통합임상관찰 도구의 내용 구성, 연구의 방법과 관련하여 다양한 의견을 수집하였다. 2차에서는 1차 델파이 조사를 바탕으로 한국형감각통합임상관찰도구의 항목을 추출하였다. 국내 임상 환경을 반영하기 위해 전문가 패널을 대상으로 추출한 한국형감각통합임상관찰도구의 항목에 대해 설문조사하였다. 3차에서는 2차 델파이 조사에서 내용타당 도 지수(Construct Validity Ratio; CVR) 0.6점 이하를 받은 항목에 대하여 다시 전문가 패널 대상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CVR 0.8점을 기준으로 최종 문항을 선정하였다. 2, 3차 설문조사 자료는 엑셀을 이용하여 평균 및 표준편차, 타당도(합의도, 수렴도, 내용타당도지수), 안정도로 분석하였다. 결과 : 한국형 감각통합임상관찰도구의 항목은 총 33개로 추출하였다. 항목은 우세측 손, 우세측 발, 회전 후 안진, 안구운동-부드럽게 따라보기, 안구운동-정중선교차, 안구운동-눈 모으기와 눈 되돌리기, 안구 운동-홱보기, 안구운동-전정안반사, 동시수축-상지, 동시수축-머리, 엎드려 폄, 바로 누워 굽힘, 비대칭 성긴장성목 반사, 대칭성긴장성목 반사, 정위반응, 평형반응, 보호폄반응, 한 발 서기-눈뜨고와 눈감고, 손가락 식별, 촉각위치식별, 손가락-코운동, 운동감각, 점프-제자리 한 발 뛰기, 점프-제자리 두발 뛰 기, 팔 벌려 뛰기, 스킵, 갤럽, 아래팔상호교대운동, 순차적인 엄지 맞섬, 슬로우 모션, 운동계획-언어실 행, 운동계획-구강실행, 운동계획-순서실행이었다. 결론 : 본 연구는 한국형 감각통합임상관찰도구 개발을 위한 내용타당도 연구로 향후에 한국의 임상실정에 맞는 정량화된 한국형 감각통합임상관찰도구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 참여자
2. 연구절차
3. 분석방법
Ⅲ. 결과
1. 1단계 문헌 고찰 결과
2. 2차 델파이 조사 결과
3. 3차 델파이 조사 결과
4. 예비 한국형 감각통합임상관찰도구의 항목
Ⅳ. 고찰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