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히토 슈타이얼 미술 프로젝트의 실천적 제도비판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Practical Institutional Critique of Hito Steyerl's Art Project

최명진, 정금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nstitutional critical art value of Hito Steyerl’s work, which shows an aspect of the late capitalist era using digital technology. In this study, we examine how various digital images of this era are consumed through Steyerl’s art project. In other words, it looks at Steyerl’s work based on the contradictions that appear in the structure and operational logic of modern society. Steyerl’s work generally focuses on the two-sided characteristics of digital technology. While proposing to critically look at the modern society represented by images and data, Steyerl also talks about how digital technology surrounding the entire life is used in the right direction today. Accordingly,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look at specific examples of critically approaching the social system by linking Steyerl’s work with the surveillance system and identity,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lgorithms, and capit

한국어

본 연구는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후기 자본주의 시대의 한 양상을 보여주는 히토 슈타이얼 작품의 제도비판적 예술 가치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슈타이얼의 미술 프로젝트를 통해 우리 시대 다양한 디지털 이미지들이 어떤 방식으로 소비되고 있는지 알아본다. 다시 말해 현대사회의 구조와 작동 논리에 나타나는 모순에 입각해 슈타이얼의 작업을 바라보는 것이다. 슈타이얼의 작품은 일반적으로 디지털 기술이 갖는 양면적인 특성에 주목한다. 슈타이얼은 이미지와 데이터로 표상되는 현대사회를 비판적으로 바라볼 것을 제안하면서도 오늘날 삶 전체를 둘러싼 디지털 기술이 올바른 방향으로 활용되는 방안에 대해서도 이야기한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슈타이얼 작품을 감시체계 와 정체성, 인공지능 및 알고리즘, 자본주의 시장과 연결 지어 사회적 제도에 비판적으로 접근하는 구체적인 사례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슈타이얼의 제도비판 이론 형성 배경
1. 동시대 뉴미디어의 경향
2. 후기 자본주의 시대 문화의 논리
3. 슈타이얼 작업 속 주요 개념
Ⅲ. 정보사회의 이면을 다룬 프로젝트 분석
1. 디지털 감시와 정체성
2. 인공지능과 알고리즘
3. 자본주의 시장에 관한 통찰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명진 Choi, Myeongjin. 전남대학교 미술학과 석박사통합과정
  • 정금희 Jung, Kumhee. 전남대학교 미술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