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Development and efficacy of Non-Face-to-Face Behavioral Activation Therapy for Young Adult Reclusive Loners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non-face-to-face behavioral activation therapy for young reclusive loners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To this end, first, 34 reclusive loners, recoveries, and their families were surveyed from five institutions related to reclusive loners. Next, a preliminary program was form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demand survey, and a non-face-to-face behavioral activation treatment program for young reclusive loners was developed by incorporating the opinions of three experts and the experiences of two reclusive loner recoveries who participated in the preliminary program. Finally, in the form of non-face-to-face personal video consultations, the behavioral activation treatment program was conducted with two reclusive loners, and its effectiveness was verified using a single-subject design. The main results were that, first, the depression of participants decreased after the intervention, and their behavioral activation improved. Second, after the intervention, activities accompanied by positive emotions increased, activities accompanied by negative emotions decreased, and a reversible response appeared in the reversal stag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mproved depression and increased activities accompanied by positive emotions as a result of applying non-face-to-face behavioral activation treatment to reclusive loners who had difficulty accessing treatment.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 은둔형 외톨이를 위한 비대면 행동활성화치료를 개발하고 효과를 검 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은둔형 외톨이 관련 5개 기관에서 34명의 은둔형 외톨이 당사자와 회복자 및 가족을 대상으로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요구조사 결과를 토 대로 예비프로그램을 구성하여 3명의 전문가 의견과 예비프로그램에 참여한 2명의 은둔형 외 톨이 회복자 소감을 반영하여 청년 은둔형 외톨이를 위한 비대면 행동활성화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최종적으로 비대면 개인 화상상담의 형태로 행동활성화치료 프로그램을 은둔형 외톨이 2인에게 실시하였으며 단일대상설계를 적용하여 효과를 검증하였다. 나타난 주요 결 과로는 첫째, 중재 이후 참여자의 우울이 감소했으며 행동활성화에서 향상을 보였다. 둘째, 중재 이후 긍정 정서 수반 활동이 향상되고 부정 정서 수반 활동이 감소했으며 반전 단계에 서 가역반응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그동안 치료적 접근이 어려웠던 은둔형 외톨이를 대상으 로 비대면 행동활성화 치료를 적용한 결과 우울을 개선하고 긍정 정서가 수반되는 활동을 증 가시켰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목차
연구 1. 프로그램 개발
요구조사
예비프로그램 개발
최종 프로그램 구성
연구 2 : 비대면 행동활성화치료 프로그램 효과 검증
연구대상 및 진행 절차
측정도구
자료분석
연구 결과
논의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