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e life narratives, behavioral strategies, and meanings of small urban manufacturer through the oral life history, which have received little attention in economic, urban, and technological history. The oral participant is a metalworking craftsman and self-employed worker who operates a small metal-spinning factory in an urban commercial agglomeration in the Cheonggyecheon Mechanical Tool Shop district. Based on ethnographic research on small urban manufacturer, the oral interviews were conducted 10 times for about 22 hours in total, and documents such as work notebooks and transaction statement were collected. Based on this, the chronology of the oral participant’s narrated life history were organized and analyzed to understand his life narrative, behavioral strategies, and meanings. First, when the heavy chemical industry was being fostered during the industrialization period and various vocational training programs were being implemented institutionally, the oral participant moved to Seoul from the countryside and acquired metalworking skills informally through informal employment and non-institutional vocational training, and improved his skills and wages by changing jobs several times. Second, as part of Seoul’s overcrowding control policy, the city of Seoul suppressed industrialization in the city, and he entered the Cheonggyecheon area, which was optimized for running a small factory in Seoul, without registering his business, which he continues to do to this day. Third, as industrial technology developed, he responded flexibly to these industrial fluctuations by developing an ad-hoc skill that allowed him to produce large metal-spinning in small batches of various types cheaply and without molds. This study argues that metalworking craftsmen responded to the industrial, urban, and technological conditions of the time in an informal way, and sustained his livelihoods with relevant skills.
한국어
이 연구는 1960년대 말부터 금속가공 기술자로 일해온 도시제조업 소공인의 구술을 통해, 그의 삶의 궤적과 생애사적 전략 그리고 의미를 규명하고자 한다. 구술 참여 자는 청계천 기계공구상가 일대 도심 상공업 집적지에서 8평 남짓의 시보리 공장을 운영하고 있는 금속가공 기술자이자 자영업자이다. 소공업 현장에 대한 민족지 조사를 바탕으로 진행된 구술 면담은 총 10차례 약 22시간 정도 진행되었고, 작업노트와 거래명세표등 기록물들을 수집했다. 이를 기반으로 구술 참여자의 이야기된 생애사 의 연대기를 정리·분석하여 그의 생애 서사와 행위 전략 그리고 그 의미를 파악했다. 첫째, 산업화 시기 중화학공업이 육성되면서 여러 직업훈련이 제도적으로 실행되고 있었을 때, 그는 시골에서 서울로 상경하여 비공식적인 취업과 비제도적 직업훈련을 통해 비공식적으로 금속가공 기술을 습득했고, 여러 차례 이직하면서 자신의 숙련기 술과 임금을 향상시켰다. 둘째, 당시 서울의 인구과밀억제 정책의 일환으로 서울시는 도시 내 공업을 억제했다. 그때 그는 서울 내에서 소규모 공장을 운영하기에 최적화된 청계천 일대에 들어와 사업장을 등록하지 않고 현재까지도 이 영업 방식을 유지하고 있다. 셋째, 산업기술이 자동화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그는 대형 시보리를 금형 없이 값싸게 다품종 소량생산을 할 수 있는 임시변통의 기술을 개발하 여 이러한 산업적 변동에 유연하게 대응했다. 이는 그의 작업장에서 공간적으로도 구현된다. 따라서 이 연구는 금속가공 소공인이 당시 산업적·도시적·기술적 상황에 비제도적·비공식적인 전략으로 대응했고, 그 과정에서 축적한 숙련된 기술력으로 자신의 일과 삶을 지탱해왔다는 점을 주장한다.
목차
1. 서론
2. 연구 설계
1) 선행연구 검토
2) 연구내용 및 방법
3) 연구대상과 연구과정
3. 금속가공 소공인의 생애 서사
1) 구술자 생애 연표
2) 호기심 많은 시골 소년의 서울 상경
3) 더 나은 임금을 향한 이직과 기술 숙련
4) 자영업 기술자로서의 삶
4. 기술자이면서 자영업자인 소공인의 행위전략
1) 기술 습득과 숙련의 비제도성
2) 공장 운영의 비공식성
3) 공간과 작업에 구현된 임시변통적 기술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