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안전통제감 및 임상의사결정능력이 환자안전관리행위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Influence of Nursing Professionalism, Safety Control, and Clinical Decision-Making Ability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Practices Among Nursing Students with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김선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patient safety management among nursing students with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Data were collected from 135 third- and fourth-year nursing students in Gyeonggi Province, between September 1 and 20, 2023.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tests, ANOVA,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22.0. Nursing professionalism scored 3.36±0.58, safety control 3.65±0.90, clinical decision-making ability 3.46±0.44, and patient safety management 4.15±0.84. Nursing professionalism correlated with safety control (r=.236, p=.006) and clinical decision-making ability (r=.218, p=.011). Safety control correlated with clinical decision-making ability (r=.266, p=.002) and patient safety management (r=.683, p=.001). Clinical decision-making ability also correlated with patient safety management (r=.273, p=.001). Safety control significantly influenced patient safety management (t=9.927, p=.000), explaining 46.5% of the variance. Enhancing safety control through targeted educational programs may improve nursing students' patient safety practices.

한국어

본 연구는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 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경기도 소재 일개 간호대학의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간호학과 3, 4학년 135명으로, 2023년 9월 1일부터 9월 2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상관관계 및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3.36±0.58점, 안전통제감 3.65±0.90점, 임상 의사결정능력 3.46±0.44점, 환자안전관리행위 4.15±0.84점이었다. 간호전문직관은 안전통제감(r=.236, p=.006)과 임상 의사결정능력(r=.218, p=.011), 안전통제감은 임상의사결정능력(r=.266, p=.002)과 환자안전관리행위(r=.683, p=.000), 임상의사결정능력은 환자안전관리행위(r=.273, p=.001)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안전통제감(t=9.927, p=.000)으로 설명력은 46.5%였다(F=39.771, p=.000).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행위 향상을 위해 안전통제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목적
Ⅱ. 연구방법
2.1 연구설계
2.2 연구 대상자
2.3 자료수집방법 및 윤리적 고려
2.4 연구도구
2.5 자료분석방법
Ⅲ. 연구결과
3.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2 대상자의 간호전문직관, 안전통제감,임상의사결정능력, 환자안전관리행위정도
3.3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전문직관, 안전통제감, 임상의사결정능력, 환자안전관리행위
3.4 대상자의 간호전문직관, 안전통제감,임상의사결정능력, 환자안전관리행위간의 상관관계
3.5 환자안전관리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선영 Kim, Seon-Young. 부천대학교 간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