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DHD 청소년의 복합 주의집중 훈련이 뇌기능 지수와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 8-week complex attention concentration program on the brain function index and attention concentration in adolescents with ADH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8 male adolescents from H School located in I City, divided into three groups: 6 participants in the complex attention concentration program group, 6 in the target-related physical activity group, and 6 in the no-treatment control group. Data analysis included calculating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for group comparisons, and two-way (2RM×6RM) ANOVA was conducted to test differences at various measurement points. Post-hoc tests were performed to examin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p<.05).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integrated attention training program had a more positive effect on brain function sub-indices compared to both the target-related physical activity group and the no-treatment group. Similarly, the program showed a more positive effect on attention levels compared to the other two groups. Based on thes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integrated attention training program significantly improves overall brain function in ADHD students and is advantageous due to its ease of participation. It is suggested that this program could be widely used due to these benefits.
한국어
본 연구는 ADHD 청소년들에게 8주간 복합 주의집중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뇌기능지수와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을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I시 소재 H학교 남자 청소년 총 18명으로 복합 주의 집중 프로그램 6명, 표적 관련 신체활 동 6명, 무처치 6명이었다. 자료분석은 집단별 비교 분석을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집단별 측정 시점에 따른 차 이 검증하기 위해 two-way(2RM×6RM)ANOVA를 실시하였다. 상호작용 효과에서 유의한 차이검증은 대비검증을 실시하였 다(p<.05). 결과로 ADHD 학생들에 복합 주의 집중 프로그램이 뇌기능 지수의 하위지표에서 표적 관련 신체활동과 무처치 집 단 보다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고, ADHD 학생들에 복합 주의 집중 프로그램이 주의집중력에서 표적 관련 신체활동과 무처 치 집단 보다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분석된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복합 주의 집중 프로그램 실시 후 ADHD 학생의 뇌 기능의 전반적인 변화를 의미하는 것으로 복합 주의 집중 프로그램이 부담 없이 쉽게 참여할 수 있다는 장 점이 있어 폭넓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요약
1. Introduction
2. Method
2.1 Research Participants
2.2 Experimental Design and Procedure
2.3 Measurement Methods
2.4 Complex Attention Training Program
2.5 Data Processing
3. Research Results
3.1 Brain Function Index
3.2 Attention
4. Discussion
4.1 Brain Function Index
4.2 Attention
5. Conclusion and Recommendations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