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다이쇼 데모크라시기의 국가론과 진화론 ― 오야마 이쿠오(大山郁夫)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Nationalism and evolutionary theory in the Taisho Democracy Period ─ Focusing on Ikuo Oyama ─

김병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examines the foundations of the early thought of Ikuo Oyama, who devoted himself to the spread of Minbonism through his oratory during the Taisho period, from the perspective of nationalism and evolutionary theory. Oyama was a leading thinker of the Taisho democracy movement, and as a political scientist, he developed from Minbonism to socialism, and would go on to play a leading role in the socialist political movement. His ideological development illustrates the process of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masses of workers and peasants in Japan from a populist and ordinary election movement to a non-progressive party movement. Based on the sociological view of the state by Gumplowicz and others, Oyama attempted to clarify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state and its essence by combining Marxism and Darwinism. His view of the state was a realistic and positivist one, in which the establishment of the state was based on the conquest and subjugation of groups, and the essence of the state was merely a power structure to maintain political domination and economic exploitation of the conquered group by the conquering group. Thus, he consistently held the social evolutionist view that the group is the subject and that the conflict and struggle of interests among groups is the driving force that generates social evolution and historical dynamics. By examining his thought, this paper was able to clarify more clearly the historical significance and essence of Japan’s civilian positivism.

한국어

본고는 다이쇼 시기에 논단을 통해 민본주의 보급에 앞장섰던 오야마 이쿠오의 초기 사상의 근간을 국가론과 진화론이라는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오야마는 다이쇼 데모크라시 운동의 대표적인 사상가이자, 정치학자로서 민본주의에서 사회주의로 발전하고, 나아가 사회주의 정치운동의 선두에서 활약하게 된다. 그의 사상적 발전은 일본에서의 노동자・농민 대중이 민본주의・보통선거운동을 거쳐 무산정당운동으로 성장 발전한 과정을 보여준다. 오야마는 굼플로비치 등의 사회학적 국가관을 바탕으로 마르크스주의와 다윈주의를 융합하면서 국가의 성립과 전개 및 그 본질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의 국가관은 국가의 성립을 집단 간의 정복 피정복에서 찾고, 국가의 본질에 대해서도 정복집단에 의한 피정복집단의 정치적 지배와 경제적 착취를 유지하기 위한 권력기구에 불과하다는 현실적・실증주의적인 입장이었다. 따라서 그는 집단 간의 이해관계의 대립과 투쟁이야말로 사회의 진화와 역사를 만들어내는 원동력이라는 사회진화론적 견해를 일관되게 유지하였다. 본고는 그의 사상을 검토함으로써 일본의 민본주의의 역사적 의의와 본질을 명확히 밝혔다.

일본어

本稿では、大正期に論壇を通じて民本主義の普及に尽力した大山郁夫の初期思想の根幹を、国家論と進化論という観点から考察した。大山は大正デモクラシー運動の代表的な思想家であり、政治学者として、民本主義から社会主義へと発展し、さらに社会主義政治運動の先頭で活躍することになる。彼の思想的発展は、日本における労働者・農民大衆が、民衆主義・普通選挙運動から無産政党運動へと成長発展する過程を示している。大山は、グンプロ ヴィッツなどの社会学的国家観に基づき、マルクス主義とダーウィニズムを融合させながら、国家の成立と展開およびその本質を明らかにしようとした。彼の国家観は、国家の成立を集団間の征服・被征服に求め、国家の本質についても、征服集団による被征服集団の政治的支配と経済的搾取を維持するための権力機構に過ぎないという現実的で実証主義的な立場であった。 したがって、彼は集団を主体とし、集団間の利害の対立と闘争こそが社会の進化と歴史の動態を生み出す原動力であるという社会進化論的見解を一貫して貫いた。本稿は、彼の思想を検討することで、日本の民本主義の歴史的意義と本質をより明確に明らかにすることができた。

목차

<要旨>
Ⅰ. 머리말
Ⅱ. 실증주의 정치학으로의 접근
Ⅲ. 사회진화론의 도입과 국가의 성립에 관한 시각
Ⅳ. 계급 없는 사회의 실현과 그 윤리적 기초
Ⅴ. 맺음말
【参考文献】
<要旨>

저자정보

  • 김병진 Kim Byeongjin .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HK조교수, 일본근현대사상사 전공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