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맨발걷기 참여자의 건강지각, 건강신념, 건강증진행동 및 삶의 질의 구조적 관계

원문정보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Health Perception, Health Belief,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of Barefoot Walking Participants

김형룡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n academic foundation that can help the walking population, which has the largest number of participants in Korea, enjoy a continuous healthy life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perception, health belief,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of barefoot walking participants. [Method]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400 participants who were walking barefoot at five barefoot walking courses in Seoul from April to June 2024, and the results were derived using 378 copies (94.5%) for the final analysis. [Results] First, the health perception of the participants in barefoot walking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health belief. Second, the health perception of the participants in barefoot walking had a positive effect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Third, health belief had a positive effect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Fourth, health promotion behavior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Conclusion] This allows the individual's perceived health level and beliefs to lead to actions for a continuous healthy life regardless of the individual's body level, which suggests that it contributes to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by harmonizing the individual's work-life balance.

한국어

[목적] 본 연구에서는 맨발걷기 참여자의 건강지각, 건강신념, 건강증진행동 및 삶의 질의 관계를 확인하여 국내에서 가장 많은 참여자를 확보하고 있는 걷기인구의 지속적인 건강생활을 향유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학술적 기틀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편의표본추출법을 활용하여 2024년 4월에서 6월까지 서울 맨발걷기코 스 5개소에서 맨발걷기를 실시하고 있는 참여자 400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중 최종분석에는 378부 (94.5%)를 활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첫째, 맨발걷기 참여자의 건강지각은 건강신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 다. 둘째, 맨발걷기 참여자의 건강지각은 건강증진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건강신념은 건강증진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건강증진행동은 삶의 질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결론] 이는 개인의 신체수준과는 관 계없이 개인이 지각하는 자신에 대한 건강수준과 신념이 지속적인 건강생활을 위한 행동으로 이어지도록 하며 이는 개인의 일과 생활의 균형에 조화를 이뤄 삶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함을 시사한다.

목차

초록
Abstract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가설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조사도구
3.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4. 자료처리
결과
1. 상관관계분석
2. 모형적합도
3. 가설검증
논의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형룡 Kim, Hyung-Ryong. 용인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