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트랜스–동아시아적 접근을 통해 바라본 동아시아 전략적 동반자 관계의 지역적 특성 연구 ― 한중일과 동남아를 연결하는 핵심 제휴 수단에 관하여 ―

원문정보

Regional Characteristics of Strategic Partnerships in East Asia from Trans-East Asian Perspective : Analyzing the Core Connections between China, Japan, Korea, and Southeast Asia

정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ince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East Asia's international situation has been largely characterized by tension and conflict in the context of the U.S.-China strategic competition. However, paradoxically, East Asia is currently experiencing the highest levels of cooperation in its history between its diverse nations This is reflected in steady trade expansion as well as political security, and socio-cultural cooperation. Notably, the most prominent form of cooperation among East Asian countries in the post-Cold War era has taken place under the new framework of strategic partnerships, rather than traditional alliances between two countries. This study aims to summarize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strategic partnerships in East Asia, and identify their origins. This study first focuses on Northeast Asia and Southeast Asia, and compares the inter-regional frameworks (Northeast Asia actors - Southeast Asia actors) with the intra-regional frameworks (between Northeast Asia actors or between Southeast Asia actors).The study then summarized the comprehensive characteristics of East Asia's strategic partnerships and analyzed their origins. Ultimately,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understanding of regional governance in East Asia based on the understanding this new type of alignment. The study found that the dominant form of strategic partnership in East Asia is the inter-regional framework. This is the result of a combination of the intra-regional framework limitations and the driving factors of inter-regional framework. We also found that while the establishment of strategic partnerships in East Asia tends to be driven by geopolitical instability, this type of linkage expansion has focused on geoeconomic factors.

한국어

21세기 이후 동아시아의 국제 정세를 바라보는 내외부의 시선은 미중전략경쟁의 틀 아래 주로 불안과 갈등에 기반을 두어왔다. 그러나 역설적으로 동아시아는 현재 역사상 가장 활발한 교류와 협력 양태를 보이고 있다. 이는 교역 증대, 정치・안보 협력, 사회적 협력 등 다방면에서 확인되고 있는데, 흥미로운 점은 탈냉전기 이후 동아시아 국가들 간에 새로운 제휴가 성립되는 경우 양측은 동맹, 연합과 같은 기존의 틀보다 전략적 동 반자 관계라는 새 틀을 선호했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이처럼 높은 중요도를 가지는 전략적 동반자 관계가 동아시아에서 어떤 독자적・지역적 특성을 보이는지 정리하고 그 원인이 무엇인지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드러내기 위해 1차적으로 동아시아의 두 지역, 동북아와 동남아를 각각 대상화하여 ‘동북아–동남아’의 지역 간 구도, ‘동북아–동북아’, ‘동남아–동남아’의 지역 내 구도를 설정한 후 둘을 비교・분석하였다. 이후 동아시아 전략적 동반자 관계의 포괄 적 특성에 대한 정리와 원인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궁극적으로 동아시아의 지역의 외교 전략을 이해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통해 본 결과 동아시아를 대표하는 제휴의 형태는 동북아–동남아를 연결하는 지역 간 구도였으며 이는 지역 내 구도가 가지는 한계와 지역 간 구도가 가지는 여러 추진 요소의 결합으로 인한 결과였다. 또한 동아시아의 관계 체결이 지정학적 불안 요 소에 의해 주로 추동되어 왔으나 협력의 방식은 오히려 지경학적 연계 강화에 집중되어 왔다는 점은 지역의 성격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상대적 약소국인 동남아 국가들이 동아시아 전략적 동반자 관계의 성격을 결정하는데 큰 역할을 수행해 왔다는 점 역시 특기할 부분이다.

목차

<요지>
1. 서론
2. 전략적 동반자 관계와 트랜스–동아시아적 접근
3. 동아시아 연결의 핵심으로 기능한 ‘지역 간 구도’ 그리고 ‘지역 내 구도’가 지닌 한계
4. 지정학적 불안과 그 해소를 위한 지경학적 연결성의 증대
4.1. 동아시아의 전략적 동반자 체결을 추동한 지정학적 불안의 확대
4.2. 경제 연결성 강화에 초점을 둔 전략적 동반자 관계의 협력 양태
5. 결론
참고문헌(Reference)

저자정보

  • 정찬 Jung Chan. 고려대학교 중일어문학과 박사과정, 고려대학교 4단계 BK21 중일교육연구단 참여대학원생, 중일지역비교문화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