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일 관계와 ‘미디어 중개 공공외교(Mediated Public Diplomacy)’의 이론적 검토

원문정보

A Theoretical Review of Mediated Public Diplomacy in China–Japan Relations

노지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s Robert M. Entman’s Mediated Public Diplomacy (MPD), a theoretical framework for public diplomacy based on journalism and political science. Between 1990 and 2000., Entman studied media framing and its impact on public opinion. In 2008, he provided a theoretical framework for how governments influence the public and, in the international arena, the public opinion of other countries. His work provided an interesting justification for the field of public diplomacy, which has needed a theoretical explanation since the advent of social networking sites. Scholars have since applied his theory to various case studies, including the ongoing Israeli– Palestinian conflict and the recent Russia–Ukraine war.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s the applicability of Entman’s theoretical underpinnings to the public diplomacy strategies of Japan and China since the 2000s. China, specifically, has been at the forefront of digital public diplomacy and media diplomacy in recent years. Conversely, Japan, under the leadership of its Cabinet and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has actively pursued “strategic outreach,” a shift from its traditional approach of cultural and public diplomacy aimed at building a long–term positive image. Japan is now conducting “mediated public diplomacy” through the use of other countries’ media. China, on the other hand, places a strong emphasis on direct ‘digital diplomacy’ through social media as well as the use of state–funded broadcasters (CGTN). Underscoring the practical relevance of our research, this study shows that the recent policies of these two East Asian countries closely correspond with Entman’s theory.

한국어

본 연구는 저널리즘과 정치학을 토대로 공공외교의 이론적 틀을 제시한 로버트 엔트만(Robert M. Entman)의 ‘미디어 중재 공공외교(Mediated Public Diplomacy; MPD)’ 에 대해 고찰한다. 엔트만은 1990~2000년 미디어의 프레이밍(Framing)이 여론에 미치 는 영향력을 연구하였다. 이를 토대로 그는 2008년 국제사회에서 각국의 정부가, 어떻 게 상대국의 대중 여론에 영향을 미치는지 이론적 틀을 제공하였다. 그의 연구는 소셜 네트워크서비스(SNS)의 등장으로 이론적 설명력을 갈구하던 공공외교 분야에 흥미로 운 설명이 되었다. 이후 학자들은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부터 최근의 러시아–우크 라이나 전쟁에 이르기까지 엔트만의 이론을 바탕으로 다양한 사례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엔트만의 이론적 토대를 2000년대 이후 일본과 중국의 공공외교에도 적 용할 수 있는지 분석한다. 중국은 최근 디지털 공공외교를 적극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일본 역시 아베 신조(安倍晋三) 전 총리 이후 내각과 외무성을 중심으로 ‘전략적 대외 발신(戦略的な対外発信)’을 추진했다. 연구 결과, 일본은 기존의 문화외교 중심의 공공외교에서 벗어나, 타국의 미디어를 활용한 ‘미디어 중개 공공외교’를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은 타국의 미디어가 아닌, 외교관들이 SNS를 직접 활용하여 일본・미국의 정책을 비판하였다. 이 연구는 양 국의 패권 경쟁이 경쟁적인 미디어 중재 공공외교의 배경임을 보여준다.

목차

<요지>
1. 머리말
2. 프레이밍(Framing)과 국제 여론
2.1. ‘계단식 네트워크 활성화(Cascading Network Activation)’
2.2. 문화적 일치(Cultural Congruence)
2.3. 정치적 근접성(Political Proximity)
3. 중국의 미디어 중개 공공외교
3.1. SNS 전사(戰士)로 나선 중국의 외교관
3.2. 코로나19 팬데믹의 효과
4. 일본의 미디어 중개 공공외교
4.1. 중국의 ‘야스쿠니 신사’ 비판
4.2. 프레이밍의 실패 : ‘반성하지 않는 강자’의 이미지
5. 중국과 일본의 국가이미지
5.1. 소프트파워 30
5.2. 글로벌 소프트파워 지수
6. 맺음말
참고문헌(Reference)

저자정보

  • 노지현 Roh, Jiehyun.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 일본학과 박사과정생, 일본사회문화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