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テキストマイニングを活用した日韓対照研究の動向

원문정보

An Analysis of trends in Japanese-Korean Contrastive Research Using Text Mining

張根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as part of language processing research, text mining techniques were used to identify trends in ‘Japanese-Korean contrastive research’ and analyze the results. Specifically, the focus was on identifying research results and trends to date, including when contrastive studies on both Korean and Japanese languages w ere published and what areas are mainly being studied. As a research method for this, we first used Google Scholar's search tool to detect papers matching the keyword “Japanese-Korean contrastive Research”. We collected 783 papers published from 1980 to 2022, and attempted text mining using KH Coder on these paper titles.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below. [1] Using text mining, we extracted high-frequency words (appearing 4 or more times) that appear in the title of the paper. The fields of contrastive research are active in ‘Grammar/Expression’ and ‘Discourse/Verbal behavior’, but a wide range of research is also being conducted in ‘Vocabulary/Parts of speech’, ‘Phonetics/Phonology’, and other fields. [2] To check the correlation between extracted words, we ran co-occurrence network to check how the top 100 keywords are connected in the paper title.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Korean language] [Japanese language] [verbs] [form] [discourse] [verbal behavior] etc. formed a large cluster. [3] By setting the year of publication as an external variable, we confirmed contrastive research trends over the past 40 years and extracted characteristics by era. In the field of ‘grammar/discourse’, from the early [causative/passive] [particle] research to [tense/aspect] research, research on [discourse] emerged in the 2000s. Recently, research on [communication] that emphasizes [situation/utterance] has continued.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언어 처리 연구의 일환으로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한・일 어 대조연구(日韓対照研究)’의 동향을 파악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한일 양 언어의 대조연구가 언제부터 발표되었으며, 주로 어떤 분야가 연구되고 있는가 를 포함해 지금까지의 연구 성과와 동향을 파악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한 연 구 방법으로 ‘Google Scholar’ 검색툴을 이용하여 “日韓対照”라는 키워드로 논문을 검 출하였다. 그 결과, 1980년부터 2022년까지 발행된 논문 783편을 수집하였고, 이들 논문 타이틀을 대상으로 KH Coder를 활용한 텍스트 마이닝을 시도하였다. 분석 결과를 아래 에 요약한다. [1]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하여 논문의 타이틀에 출현하는 상위 빈도어(4회 이상 출 현)를 추출하였다. 대조연구의 분야로는 ‘문법・표현’ 및 ‘담화・언어행동’이 활 발하나 ‘어휘・품사’나 ‘음성・음운’을 비롯해 그 밖의 분야에서도 폭넓게 진행 되고 있다. [2] 추출어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공기네트워크를 실행하여 상위 100개의 주제어가 논문 타이틀에서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日 本語] [韓国語] [動詞] [談話] [行動] [形式] 등이 큰 클러스터를 이루고 있음을 확 인하였다. [3] 발행연도를 외부변수로 설정하여 지난 40여년 사이의 대조연구의 추이와 연대별 특징적인 추출어를 확인하였다. ‘문법・담화’분야에서는 초기의 [受身・使役]의 연구에서 [テンス・アスペクト]의 연구를 거쳐 2000년대에 들어 [談話] 연구가 출현하였고, 최근에는 [場面・発話]를 중시한 [コミュニケーション]의 연구로 이 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목차

<要 旨>
1. はじめに
2. 先行研究
3. 研究の対象および方法
3.1. 研究の対象
3.2. 研究の方法
4. 抽出語の分析および共起ネットワーク
4.1. 抽出語の分析
4.2. 共起ネットワーク
5. おわりに
参考文献(Reference)

저자정보

  • 張根壽 장근수. 祥明大学 韓日文化コンテンツ専攻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