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日韓会話の割り込みに見られる男女差  ― 「頻度」、「機能」、「種類」の観点から ―

원문정보

The Difference between Japanese and Korean Men and Women in the Interruption Conversation

吳晛榮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a total of 32 conversations were conducted by eight native Japanese speakers and eight Korean learners. The types of interruptions and interruption speech functions of native speakers and learners were analyzed from the gender perspective. As for the frequency of interruptions, both female and male had more interruptions among Korean learners. The frequency of interruptions by function is female KJ, “maintain conversation” in both mother tongue and contact scenes, and “supplement to conversation.” “Maintain discourse” and “Promotion of discourse”, J is the mother tongue scene. “Maintain discourse”, “Supplement of discourse”, and “Promotion of discourse”. It is the same as KJ in the order of progress, but in the case of contact, “maintenance of discourse,” “promotion of discourse,” and “supporting discourse.” It was in the order of ‘foot’. Male KJ has the same mother tongue scene and contact scene as female KJ, and male J has contact. Both the scene and the mother tongue scene were similar to the order of J's contact scenes. The types of interrupts are used by both men and women of J in the order of “Aizuchi”, “Information Request”, and “Laugh”, KJ used a lot in order.

한국어

본연구는 일본어 모어 화자 8명과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 8명, 합계 32쌍의 자유 회화를 연구 대상으로 모어 화자와 학습자에 의한 끼어들기의 종류와 발화 기능을 남녀, 이문화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점이 명백해졌다. 끼어들기의 발화는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KJ), 일본어 모어 화자(J) 사이에 차이가 보였다. 전반적인 끼어들기의 빈도는 장면과 관계없이 여성도 남성도 KJ의 출현 수가 J보다 많았다. 특히 KJ는 「담화유지」의 맞장구, 웃음이 아닌 정리된 말로 끼어들어 담화를 이어 나가는 것이 명백해졌다. 다음으로 남녀 차이로는 KJ도 J도 모든 끼어들기 항목에서 남성보다 여성의 사용 빈도가 높았다. 여성은 남성보다 화자 한 명이 담화를 진행해 가는 것보다 서로가 구축해 가는 경향이 있었다. 특히 J는 남성도 여성도 「담화유지」중에서도 「맞장구」의 사용 빈도가 KJ보다 높았다. J는 말보다는 상대의 발화가 끊기지 않도록 맞장구로 끼어들면서 담화를 진행해 나가는 특징이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J는 대화자에 협조하는 형태를 띠고, 상대의 발화를 듣고 있다는 표식을 대화가 끊기지 않도록 맞장구로 끼어들기를 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반면 KJ는 정리된 말로 끼어들어, 공감하려 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끼어들기 발화의 기능을 구체적인 종류로 분류하여 보았을 때 대화자의 발화에 대해 방해로 볼 수 있었던 발화가 회화를 원활하게 진행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이 명백해졌다.

목차

<要 旨>
1. はじめに
2. 先行研究
3. 研究方法
3.1. 分析資料
3.2. 割り込み発話の定義及び機能
4. 結果及び考察
4.1. 全般的出現総数
4.2. 機能別出現頻度
4.3. 機能別に分けた割り込みの詳細の種類
5. まとめ
参考文献(Reference)

저자정보

  • 吳晛榮 오현영. 연세대학교 학부대학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