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聚分韻略 諸本에 걸친 遇攝의 字音形에 대하여

원문정보

A Study of Kana Notations on Four Editions of Shubun-Inryaku : Focus on Group Yu(遇)

취분운략 제본에 걸친 우섭의 자음형에 대하여

안동니, 이경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analyzed the kana notations of Shubun-Inryaku (聚分韻略)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them with Go’on and Kan’on. Additionally, the differences in the kana notations of Kanji in the Group Yu (遇) were examined. For the first opened rhyme Mo (模), the most common type is the -o type, which does not differentiate between Kan’on and Go’on. The next most common type is the -o type of Kan’on, which is distinguishable from the -u type of Go’on. For the B type of the third opened rhyme Yu (魚), the majority are recorded as the Kan’on -jo type, with some instances of the Go’on -o types. For the third opened rhyme Yu (魚), the majority of A type are recorded as the -jo type, with some -o types mixed in initial Rai (來) and dental sounds. As the -jo type is homophonous between Kan’on and Go’on, it is not possible to distinguish between them based on phonetic type alone. For the B type of the third opened rhyme Yu (虞), the common appearance of the -u type does not allow for distinguishing between Kan’on and Go’on based on phonetic type alone. In the A type of the third opened rhyme Yu (虞), the commonly appearing -iu and -ju types are homophonous between Kan’on and Go’on, so it is not possible to distinguish between them based on phonetic type alon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re indicated by overall trends across the group Yu (遇). Although there are some instances of Go’on present, most kana notations follow Kan’on principles.

한국어

본고에서는 『聚分韻略』 4개본의 遇攝의 字音形에 대해 漢音, 吳音 자료와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開口1等의 模韻은 『聚分韻略』 4개본에서 공통적으로 漢音, 吳音을 구별할 수 없는 -o형이 가장 많으며, 그 다음에 吳音의 -u형과 구별되는 漢音의 -o형이 분포한다. 2) 開口3等 魚韻 乙類는 『聚分韻略』 4개본에서 모두 대부분 漢音의 -jo형으로 기재하고 있으며, 일부 吳音의 -o형이 혼입되어 있다. 3) 開口3等 魚韻 甲類는 『聚分韻略』 4개본에서 모두 주로 -jo형으로 기재하고 있으며, 來母字와 齒音字를 중심으로 일부 -o형이 혼재한다. -jo형은 漢音, 吳音 동형이므로 字音形으로는 漢音과 吳音을 구별할 수 없지만, 日母字의 [シヨ, ジヨ]는 漢音으로, [ニヨ]는 吳音으로 규정할 수 있다. 4) 開口3等 虞韻 乙類는 『聚分韻略』 4개본에서 공통적으로 출현하는 -u형은 그 字音形으로 漢音, 吳音을 구별할 수 없다. 단지 그 聲母로 보아 微母字의 [ム]는 吳音으로, [フ, フウ, ブ]는 漢音으로 규정할 수 있다. 5) 開口3等 虞韻 甲類는 『聚分韻略』 4개본에서 출현하는 -iu형, -ju형은 漢音 吳音 동형이므로 그 字音形을 통해 漢音 吳音을 구별할 수 없다. 단지 그 聲母로 보아 日母字의 [シユ]는 漢音으로, [ニウ]는 吳音으로 규정할 수 있다. 6) 遇攝韻 전체에 걸친 전반적인 경향은 『聚分韻略』 제본에 큰 차이가 보이지 않으며, 대부분 漢音 注記를 원칙으로 하고 있지만, 일부 吳音 注記가 혼입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목차

<요 지>
1. 머리말
2. 본론
2.1. 開口1等 模韻
2.2. 開口3等 魚韻 乙類
2.3. 開口3等 魚韻 甲類
2.4. 開口3等 虞韻 乙類
2.5. 開口3等 虞韻 甲類
3. 맺음말
참고문헌(Reference)

저자정보

  • 안동니 An, Dongni. 동국대학교(Seoul Campus) 대학원생
  • 이경철 Lee, Kyongchul. 동국대학교(Seoul Campus) 일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