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ORIGINAL ARTICLE

슈퍼블루문 기사 내용분석을 통한 과학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 및 개선방향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Importance and Improvement Direction of Science Communication by Analyzing Articles of the Super Blue Moon

설아침, 김형범, 김용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importance of accurate scientific communication and the current status of popular astronomy based on science articles that occurred during the so-called Super Blue Moon astronomical phenomenon in August 2023. To this end,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non-experts, quasi-experts, and experts based on the degree of knowledge of the astronomical universe to investigate the data interpretation ability of astronomical science information and to analyze the causes of errors in the interpretation proces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e also investigated the favorability and reliability of research institutes that strive to provide scientific information and the media that strive to spread it and also investigated the changes in existing favorability and reliability when incorrect scientific information spreads, as in this case. Although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interpretation of scientific information about the astronomical universe depending on the cognitive aspect, the influence of linguistic elements or literacy, which could be called communication, could not be ignored.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misconceptions inherent in the existing research subjects could be expressed, leading to errors in accurate information interpretation. In addition, after recognizing that errors were included in the spread of scientific information, the subjects' favorability toward research institutes and the media fell 12.30% and 17.58%, respectively, while reliability fell 19.40% for research institutes and 24.49% for media outlets. Regardless of the cause of the error, the importance of providing accurate scientific information is further emphasized, considering that the overall favorability and reliability of both research institutes and the media decline. In order for research institutes and media outlets to spread accurate scientific information about the astronomical universe based on the public's trus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 that can accurately deliver error-free information generated by research institutes related to astronomical space to media or science communicators and to develop a system that quickly retrieves and corrects incorrect scientific information through continuous monitoring.

한국어

이 연구는 2023년 8월의 이른바 슈퍼블루문의 과학 기사에서 나타난 정확한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 및 대중 천문학의 현주소를 살펴보고 향후 개선 방안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천문우주에 대한 지식 정도를 기준으로 비전문가, 준 전문가, 전문가로 연구 대상을 구분지어 천문과학 정 보의 자료 해석 능력을 조사하고, 해석 과정에서 발생 한 오류들에 대해 심층 인터뷰를 통해 원인을 분석하 였다. 또한 과학정보의 제공을 위해 노력하는 연구기 관과 이를 확산하기 위해 노력하는 언론매체에 대한 호감도와 신뢰도를 조사하고, 이번 사례와 같이 올바 르지 않은 과학정보가 확산되었을 경우에 기존 호감도 와 신뢰도에서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에 대해서도 알 아보았다. 천문우주에 관한 과학정보의 해석에서는 인지적 측 면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었지만 이와 별개로 소통이라 부를 수 있는 언어학적인 요소 혹은 문해력의 영향도 무시할 수 없었고, 특히 기존에 연구대상에 내재된 오 개념들이 발현되어 정확한 정보 해석에 오류를 가져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연구대상들은 확산 된 과학정보에 오류가 포함되었음을 인지한 후에 연구 기관과 언론매체에 대한 호감도가 각각 12.30%, 17.58% 하락하였고, 신뢰도는 연구기관이 19.40% 하락, 언론매 체가 24.49% 하락하였다. 오류의 발생 원인과 관계없이 연구기관과 언론매체 모두에 대한 호감도 및 신뢰도가 전반적으로 하락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정확한 과학정 보 제공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된다. 이를 개선해 연구기관 및 언론매체가 일반 대중들 의 신뢰를 바탕으로 정확한 천문우주의 과학정보를 확 산하기 위해서는 천문우주관련 연구기관에서 생성한 오류 없는 정보가 언론매체 혹은 과학커뮤니케이터에 게 정확히 전달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며 지 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잘못된 과학정보가 발생한다면 이를 빠르게 회수하고 수정하는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참여자
2. 연구 절차
3. 자료 개발 및 분석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1. 기초조사 I: 천문우주 정보 해석 결과
2. 기초조사 II: 호감도 및 신뢰도 변화 분석
3. 심층조사를 통한 원인 파악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국문요약
References

저자정보

  • 설아침 Ah-Chim Sul. 한국천문연구원 책임
  • 김형범 Hyoungbum Kim. 충북대학교 교수
  • 김용기 Yonggi Kim. 충북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