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the Production Period of the Seated Gilt-Bronze Avalokitesvara Bodhisattva at Seonamsa Temple in Suncheon
초록
영어
In China, after the acceptance of Tibetan esoteric Buddhism, also known as Lamaism, during the Yuan Dynasty, the production of distinctive Buddhist sculptures with unique Tibetan-style art began. In Korea, Tibetan-style Buddhist statues emerged during the Late Goryeo Dynasty, originating from Buddhist activities supported by either the royal court or pro-Yuan factions. Traditionally, scholars classify these statues as Late Goryeo creations influenced by the Yuan Dynasty, closely associated with the spread of Lamaism. However, a closer examination of Chinese Buddhist statue production reveals that this trend persisted beyond the Yuan Dynasty, extending into the Ming and Qing Dynasties. Particularly during the Ming Dynasty, such Tibetan-style Buddhist statues were consistently crafted and featured prominently in imperial collections. Consequently, some scholars propose the notion that the Tibetan-style Gilt-bronze Buddhist statues in Korea may actually date back to the Early Joseon Dynasty, influenced by Ming Dynasty Buddhist sculpture. Aligned with this scholarly perspective, this article aims to scrutinize the style of the Gilt-Bronze Avalokitesvara Bodhisattva at Seonamsa Temple and juxtapose it with the attributes of Tibetan-style Buddha statues from the Yuan and Ming dynasties in China, in order to reassess its probable production date. In 1988, during the renovation of the Thousand Buddha Hall at Seonamsa Temple, a Gilt-Bronze Avalokitesvara Bodhisattva was discovered hidden in the upper rafters. Initially examined in 1992, it was naturally dated as a Tibetan-style bodhisattva from the Yuan Dynasty due to its distinctive features such as the jeweled crown, facial expression, intricate ornaments, and throne design. It was assumed that the statue must have been crafted in response to cultural exchanges with the Yuan Dynasty during the Late Goryeo Dynasty. However, when comparing the style of the Seonamsa Bodhisattva statue with the Tibetan-influenced styles from China’s Yuan and Ming dynasties, it not only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Ming dynasty Yongle and Xuande period statues but also combines traditional elements with features of the Tibetan style from the Yuan dynasty. This indicates that the Tibetan Buddhist art style, adopted during the Late Goryeo period, continued to influence Early Joseon Buddhist art through the Ming dynasty. As a result, it is presumed that the gilt-bronze Avalokiteshvara Bodhisattva statue at Seonamsa was produced in 15th-century Joseon, following the popularity of Yongle and Xuande period statues in the Ming dynasty.
한국어
중국 元代에는 티베트 밀교인 라마교가 수용된 이후 독특한 티베트계 미술 양식이 가미된 불교 조각이 제작되기 시작하였다. 우리나라에는 元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던 고려후기에 티베트계 미술 양식으로 제작된 외래양식 불상이 등장하기 시작하는데 이는 왕실이나 元 간섭기 친원 세력의 佛事에서 비롯된 것이다. 학계에서는 이러한 역사적 배경에 따라 국내의 티베트계 양식 불상들을 일반적으로 고려후기작이라고 편년 하였다. 그러나 중국 불상 제작의 흐름을 보면 이러한 현상은 元代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明·淸 代를 걸쳐 지속되었으며 특히 明代에는 황실 소장의 불상에서 이러한 티베트계 양식의 불상이 지속적으로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일부 학계에서는 국내에 있는 티베 트계 양식 금동불상들이 明代 불교 조각의 영향을 받은 조선전기작일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학계 동향에 따라 본 논문은 중국의 元代 및 明代 티베트계 보살상 양식의 특징을 이해하고 고려후기부터 조선전기에 제작된 우리나라 티베트계 보살상과의 비교를 통해 선암사 금동관음보살좌상의 제작 시기에 대해 재고해보고자 한다. 1988년 선암사 천불전을 수리하던 중 상단 서까래 부분에서 금동관음보살좌상이 발 견되었다. 보관, 상호, 화려한 장신구, 대좌 등의 표현방식이 전통적인 불상의 양식과 달리 티베트계 불상 양식이 가미된 보살상으로 1992년 이 보살상에 대한 첫 조사가 이루어졌을 당시 고려후기 元과의 교류에 따라 제작되었을 것이라는 통념에 의해 자연히 고려후기에 제작된 것으로 편년 하였다. 그러나 선암사 보살상의 양식을 중국의 元代와 明代로 구분하여 시기별로 나타나는 티베트계 양식의 특징과 비교해 보면 明代 永宣造 像의 특징을 담고 있으면서도 전통적인 요소와 元代 티베트계 양식의 특징까지 복합적으 로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고려후기부터 수용된 티베트계 불교 미술 양식이 明代를 거쳐 조선전기 불교 미술 양식에도 영향을 끼친 것으로 선암사 금동관음보살상은 明代 永宣造像이 유행한 이후, 15세기 조선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목차
Ⅰ. 머리말
Ⅱ. 元代 티베트계 양식 보살상의 특징
Ⅲ. 明代 티베트계 양식 보살상의 특징
Ⅳ. 선암사 금동관음보살좌상의 특징과 편년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