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國朝名臣言行錄』의 일고찰

원문정보

A Study of Record of illustrious Retainers’ Words and Deeds of the Chosŏn Dynasty (Kukcho myŏngshin ŏnhaengnok 國朝名臣言行錄)

『국조명신언행록』의 일고찰

김영건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compares and analyzes the format and structure of three works- Song Jingŭn's Record of illustrious Retainers' Words and Deeds of the Chosŏn Dynasty (國朝名臣言行錄), Yi Jonjung's Record of illustrious Retainers (國朝名臣錄), and Song Jingŭn's Record of illustrious Retainers' Words and Deeds of the Chosŏn Dynasty (國朝名臣言行錄)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Chosŏn's records of notable officials and explores their significance. This paper also establishes that Song Jeong-eun is the author of Kukcho myŏngshin ŏnhaengnok. The attribution of authorship to Yi Jonjung stems from a passage in the preface by Kim Ryŏ, which speculates that he might have compiled the work. However, when compared with Song Jingŭn's work, it becomes evident that Yi Jonjung's work simply corrects errors in Song Jingŭn's original. This suggests that Yi Jonjung g merely transcribed and amended the original work. Furthermore, Song Jingŭn's epitaph explicitly mentions that he compiled a record of notable officials covering the period from the early Chosŏn Dynasty to the reign of King Injo, and this is consistent with the list of figures included in Kukcho myŏngshin ŏnhaengnok. In the case of Yi Ikchin, no evidence suggests that he compiled this work. The misunderstanding that he was the author likely arose because his name appears at t he b eginning o f the second v olume of t his copy, but f urther i nvestigation reveals that 15 other names are also listed as contributors, all of whom were merely transcribers appointed by King Chŏngjo to copy Record of illustrious Retainers (名臣錄) and A Study of Persons (人物考). These individuals were not the actual authors of the work. The paper then refers tof existing research on the Record of illustrious Retainers and highlights three key characteristics of Chosŏn's records of notable officials. First, while these works follow the structure of Zhu Xi's Record of illustrious Retainers, they also incorporate additional virtues, reflecting a degree of independence in their compilation. Second, they serve as comprehensive sources of biographical information on Chosŏn officials, functioning as both encyclopedias and dictionaries. Third, although these works belong to the category of biographical compilations, they also provide insights into the compiler's ideological perspectives, particularly evident in the sections dedicated to Confucian moral philosophy.

한국어

본고는 목차와 내용이 거의 동일한 宋徵殷의 『國朝名臣言行錄』․ 李存中의 『國朝名臣 錄』․李翼晉의 『名臣錄』의 형식과 체제를 비교하고 분석하여 이 저서의 찬자가 송징은임 을 규명하였고, 아울러 『국조명신언행록』을 중심으로 조선 명신록의 특징을 분석하여 조 선 명신록의 의의를 고찰하였다. 명신록의 작자로 이존중이 거론된 것은 金鑢의 발문에서 이존중이 편찬했다고 추측한 구절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송징은의 명신록과 비교하였을 때 이존중의 명신록은 송 징은의 명신록에서 소전의 틀린 부분을 수정하였다. 이는 송징은의 명신록을 필사하며 잘못된 부분을 고친 것이다. 무엇보다도 송징은의 신도비에서 조선 초기부터 인조 때까 지 인물을 입전한 명신록을 편찬했다고 말했고, 『국조명신언행록』에 수록된 인물의 목록 을 보면 그 내용 그대로 조선 초기부터 인조 때까지의 인물이 입전되어 있다. 이익진의 경우는 명신록을 편찬했다는 자료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익진의 『명신록』을 보면 책2 첫 부분에 ‘李翼晉’이라고 첨지가 붙어 있었기 때문에 이익진이 편찬했다고 오인된 것이다. 이 『명신록』에는 각 책마다 이익진 외 15인의 인물이 첨지로 명시되어 있었다. 관련한 확인한 결과 이들은 정조가 前現任 抄啓文臣 16인에게 『名臣錄』과 『人物考』를 베끼게 한 인물과 동일했다. 즉, 이들은 명신록의 찬자가 아니라 단지 필사자였던 것이다. 다음으로 『국조명신언행록』을 중심으로 기존의 연구된 명신록을 종합하여 조선 명신록의 특징을 분석하여 조선의 명신록의 특징을 세 가지로 요약하였다. 첫 번째는 주희의 명신록의 체제를 따르면서도 덕목을 추가하여 주체적으로 편찬한 저서이다. 두 번째는 입전한 인물을 다양한 자료를 가지고 정리하여 조선 인물의 총서 및 사전의 역할을 하는 자료이다. 세 번째는 명신록이 차기류 저서이기는 하나 작자가 인물에게 부여한 덕목을 통해 작자의 사상을 간접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자료이다. 특히 도학 항목에서 이러한 면모가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목차

[ 국문초록 ]
1. 들어가며
2. 『國朝名臣言行錄』의 편찬자 고증
3. 『국조명신언행록』을 통해 본 조선 명신록의 특징
4.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저자정보

  • 김영건 Kim, Younggun.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수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