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누가 생성형 AI를 이용하는가? : 인구사회학적 변인, 디지털 리터러시, 디지털 전환 인식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Who Uses Generative AI? : Focusing on Demographic Variables, Digital Literacy, Digital Transformation Recognition

이해수, 이모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usage of Generative AI, a topic currently receiving significant attention in the ICT industry.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s' personal characteristics, including demographic factors, digital literacy, and recognition of digital transformation, and their experience with Generative AI.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four demographic variables analyzed, age, education level, and income level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use of Generative AI, whereas gender was not. Second, within digital literacy, a higher proficiency in using smart devices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experience in using Generative AI, while a lower critical media literacy correlated with a higher utilization rate of these services. Third, all factors related to the recognition of digital transformation positively influenced the experience of using Generative AI.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offers insights for the effective use of Generative AI and provides a foundation for addressing digital inequality resulting from the proliferation of these services.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최근 ICT 산업 내에서 가장 주목 받고 있는 생성형 AI를 주제로 이용자들을 파악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인구사회학적 변인(성별, 연령, 교육 수준, 소득 수준), 디지털 리터러시(스마트 기기 활용 능력, 비판적 미디어 능력), 디지털 전환 인식(디지털 전환 인식 수준, 디지털 전환의 영향력에 대한 인식) 등 개인 특성 요인들이 생성형 AI 이용 경험과 관련되는지 그 관계성을 확인, 검증하는 절차를 진행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변인으로 투입된 네 가지 요인 중 성별을 제외한 연령, 교육 수준, 소득 수준은 생성형 AI 이용 경험과 유의미한 연관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디지털 리터러시 능력 중 스마트 기기 활용 능력이 높을수록 생성형 AI 이용 경험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비판적 미디어 능력이 낮을수록 생성형 AI 이용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디지털 전환 인식 요인으로 설정한 디지털 전환 인식 수준, 디지털 전환의 영향력에 대한 인식 모두 생성형 AI 이용 경험과 정적 연관성을 갖고 있었다. 본 연구는 생성형 AI의 효과적 활용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고, 생성형 AI 보급이 야기하는 디지털 불평등 해결을 위한 단초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2.1 생성형 AI
2.2 생성형 AI와 디지털 정보 격차
2.3 생성형 AI 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주는 요인
Ⅲ. 연구 방법
3.1 분석 데이터 개요
3.2 측정 도구
3.3 분석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함의
5.1 주요 결과
5.2 이론적ㆍ실무적 함의
5.3 연구의 한계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해수 Hae-soo Lee.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AI정책연구실 선임연구원
  • 이모란 MoRan Yi. 명지전문대학 디지털콘텐츠융합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