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witching behavior of venture and start-up companies to crowdfunding and to examine the impact of this switching on the perceived performance of companies. To achieve this, the study employed the Push-Pull-Mooring (PPM) framework to verify the factors driving start-ups to shift from traditional funding to crowdfunding. Specifically, the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dissatisfaction with existing funding methods and the attractiveness of crowdfunding on the intention to switch to crowdfunding. A survey was conducted with start-ups, a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Both the IT and non-IT groups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dissatisfaction with traditional funding and the intention to swith to crowdfunding.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IT and non-IT groups regarding the limitations in providing funding information, institutional support, and levels of future expectations. These results highlight crowdfunding's importance for diverse start-ups, offering solutions to funding challenges and improving performance. The study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entrepreneurship and crowdfunding dynamics, providing practical insights for government and crowdfunding platform stakeholders to support start-ups effectively.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벤처 및 창업 기업들의 크라우드 펀딩 전환에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 크라우드펀딩 전환이 기업의 인지된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Push-Pull-Mooring (PPM) 모델을 활용하여 스타트업의 전통적인 자금 조달 방식에서 크라우드펀딩으로 전환되는 요인을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 기존 펀딩 방법에 대한 불만족과 크라우드 펀딩의 매력도가 크라우드 펀딩 전환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IT와 비IT 두 그룹 모두 전통적인 자금 조달 방식에 대한 불만과 크라우드펀딩에 대한 전환 의도에 대하여 유의한 관계가 나타났으며 펀딩정보 제공의 한계, 제도적 지원, 미래 기대 수준에서 IT와 비IT 그룹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다양한 스타트업이 자금 조달 문제를 해결하고 성과를 높이기 위한 크라우드펀딩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또한 기업가정신과 크라우드펀딩의 관계에 대해 이해하고, 정부 및 크라우드펀딩 플랫폼 이해관계자들이 스타트업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실질적인 통찰을 제공한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2.1 창업기업과 자금 조달
2.2 크라우드펀딩
2.3 Push-Pull-Mooring 모델
Ⅲ. 연구모형 및 가설
3.1 연구모형
3.2 연구가설 설정
Ⅳ. 연구 방법 및 결과
4.1 측정 도구 개발 및 표본
4.2 측정모형 분석
4.3 구조모형 검증
Ⅴ. 결론
5.1 연구 결과 요약 및 논의
5.2 연구의 시사점
5.3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