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요가지도자들의 수행방법으로서 茶 명상 체험 - 초의선사의 중정(中正)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Tea Meditation Experience as a Practicing Method of Yoga Leaders : Focused on the Jungjeong of the Tea Master Chouui

민유정, 김정은, 신현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lluminate the performative relationship between yoga and tea through the tea meditation experiences of yoga leaders and to explore the practical meaning of tea meditation experiences. As a theoretical background, Jungjeong the core philosophy of DongdaSong written by the tea master Chouui in the late Joseon Dynasty, was presented. Methods The research method is a qualitative study, which analyzed and 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ith yoga leaders on the tea meditation experience. Results According to this study, the essential goal of yoga and tea meditation is to find true identity and have common characteristics in the structure and method of the performance process. Yoga and tea meditation are performance methods that maintain balance and meditation based on slow breathing and movement and are achieved in a structure of equality. This practice of perception expands thinking and broadens the energy of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In addition, yoga and tea meditation seek balance in the structure of movement and breathing and experience emptying and filling based on the aesthetics of waiting. Conclusions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yoga leader's tea meditation experience is a study approached as a suggestion of the importance of meditation and tea meditation can enrich the psychological and physical experiences of yogi. Therefore, in this regard, it is suggested that program development or related studies be further reinforced and carried out.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요가지도자들의 차 명상 경험을 통해 요가와 차의 수행적 관계를 조명하고 차 명상 경험의 실천적 의미를 탐색하는 데 있다. 요가와 차의 명상적 연관성을 뒷받침하는 이론적 배경으로 조 선 후기 승려, 초의가 쓴 동다송의 핵심 철학인 중정(中正)을 제시했다. 연구 방법은 질적 연구로, 차 명 상 경험에 대한 요가지도자들의 심층 인터뷰를 문헌 고찰과 함께 분석하고 구조화했다. 이 연구에 따르 면 요가와 차 명상의 본질적인 목표는 진정한 나의 정체성을 찾는 것이며 수행과정의 구조와 방법에 공 통적인 특성을 갖는다. 요가와 차 명상은 느린 호흡과 움직임을 바탕으로 균형과 중정을 유지하는 수행 방법이며 평등의 구조 속에서 성취된다. 이러한 인식의 실천은 사고를 확장하고 이해와 수용의 에너지를 폭넓게 한다. 또한, 요가와 차 명상은 움직임과 호흡의 구조에서 균형을 추구하며 기다림의 미학을 바탕 으로 비워냄과 채움을 경험하게 한다. 본 연구에서 시행한 요가지도자의 차 명상 체험에 대한 질적 분석 은 요가 수행에 있어 명상의 중요성과 함께 차 명상과의 유기적 수행이 요기들의 심리적 신체적 체험을 얼마만큼 더 풍요롭게 해줄 수 있는가에 대한 제시로서 접근된 연구이다. 따라서 추후, 이와 관련해 프로 그램 개발이나 관련 연구들이 좀 더 보강되고 이루어지길 제언해 본다.

목차

Abstract
서론
연구방법
1. 문헌연구와 순환적 분석
2. 연구참여자
3. 자료수집
4. 자료분석
초의선사의 ‘ 중정(中正)’ 개념을 통해 본 차 명상의 철학적 의미
1. 초의선사와 ⌜동다송⌟
2. 요가와 차 명상 체험의 특성 및 연관성
3. 요가와 차 명상 체험의 수행적 연관성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국문초록

저자정보

  • 민유정 You Jung, Min. 숙명여자대학교 체육교육과 박사과정
  • 김정은 Jeong Eun, Kim. 숙명여자대학교 체육교육과 겸임교수
  • 신현군 Hyeon Gun, Shin. 숙명여자대학교 체육교육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